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총명한굴뚝새293
총명한굴뚝새293

지상에 구름이 생기지 않는 이유?

하늘을 보면 구름이 항상은 아니어도 떠있잖아요??

지상에도 구름이 생기면 이쁠거 같고 만질 수도 있을거 같은데 왜 안생기는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지상의 복사열로 온도가 올라간 공기와 수증기가 상승하여 대류권의 낮은 온도의 대기와 만나서 미세한 물방울이 생기는 것이 구름입니다. 이렇게 생긴 구름속의 물방울이 서로 합쳐져서 무거워지면 비나 눈이되어 내립니다. 하지만 구름 상태에서는 상승기류가 계속해서 올라오기 때문에 공중에 떠있게 됩니다.

      하지만 구름이 지상으로 내려오기도 합니다. 이른 아침에 지상에 생기는 구름을 안개라고 합니다. 구름과 안개의 생성 원리는 동일하고 차이점은 어디에 위치하는가 입니다. 구름을 만지고 싶다면 안개낀 날 만져보실 수 있습니다.

    • 지표에서 발생되는 열때문에 지상에는 구름이 발생되지 않습니다.

      태양열에의해 지표가 데워지고, 수증기가 발생되어 상층으로 올가다가 차가운 공기를 만나면 응결되어 구름이 됩니다.

      만약 지표면에 수증기가 머물러 있는 상태에서 차가운공기가 생기게 된다면 지상에도 구름이 발생될수 있을 것입니다.

      안개나 물안개등이 하늘의 구름과 같은 것으로 보시면 됩니다.

    • 지상에 생기는 구름이 안개 입니다.

      지상에서 물이 증발하면 수증기가 되어 공기중으로 올라가게 됩니다.

      이때 수증기가 팽창하면서 차가워지게 됩니다.

      공기는 일정한 온도에서 일정한 양의 수증기만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다시 기온이 내려가 공기가 포화 상태에 이르면 일부 수증기가 얼게 됩니다.

      이 과정이 땅에서 이루어진다(1km 미만)면 안개이고, 그 이상이면 구름입니다.

      따라서 안개가 지상의 구름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지표면에서부터 상공 1km위까지 생기는 구름을 안개라고 부르기도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수증가가 올라가서 먼지와 각종 다른 물질들로 인해서 응결되어 미세한 물방울이 형성되는거기 때문에 지상에서는 생길 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