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토목공학

흰검은꼬리63
흰검은꼬리63

산불은 가을에 많이 발생합니다.

산불은 봄, 가을에 많이 발생합니다. 왜 그럴까요?

산에 나무가 많이 우거져 있습니다. 그 옛날과 다르게 민둥산이 없죠

그래서 그런지 산불이 나기도 합니다. 이 산불이 봄가을에 많이 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우선 가을이 되면 차고 건조한 대륙성 기단의 영향으로 대기가 건조하기 때문입니다.

      또 나무는 날씨가 춥고 일조량이 적어지면 겨울을 나기위해 영양분과 수분을 잎으로 보내지 않고 줄기와 뿌리에 저장합니다. 이때문에 낙옆이 떨어지고 건조한 대기의 영향으로 마른 나옆이 됩니다.

      이러한 환경으로 산불이 잘 발생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계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봄가을에 산불이 많은 이유는 딱히 이유보다도, 불이날수 있는 환경이 가장 최적화된 계절이라 생각되네요.

      봄가을은 여름 겨울보다 눈,비도 가장 적게 오는 계절이고, 따라서 건조함이 다른계절보다 훨씬 건조하고,그러함에 나뭇잎들도 금방 불의 연소체로 될수 있고 하여 산불이 다른계절에 비하여 많이 발생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 산불은 건조하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입니다.

      건조하면 대기 중에 수분이 없기 때문에 불이 나기 매우 좋은 조건입니다.

      따라서 주로 건조한 가을 ~ 겨울, 초봄에 산불이 많이 나게 됩니다.

    • 시 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지난 2017~2021년까지 발생한 화재는 2만8263건이다. 계절별로는 겨울이 7297건(25.8%)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봄철 7257건(25.7%), 여름 7091건(25.1%), 가을 6618건(23.4%)의 순이었다. 사계절 중 봄철이 겨울철과 유사한 수준으로 화재 발생이 많았다.

      화재 원인별로는 부주의로 인한 화재가 4589건(28.3%)으로 연중 봄철에 가장 많이 발생했다. 담배꽁초(2041건, 34%), 용접/절단시(159건, 29.7%) 부주의화재도 연중 봄철에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 :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2031416355650305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늦가을과 겨울은 대기가 매우 건조합니다.

      여름에는 바다에서 올라오는 기단의 영향을 받아 고온다습하지만 겨울이 다가올 수록 시베리아에서 불어오는 저온건조한 대기의 영향을 받아 비는 적고 대기는 매우 건조해집니다.

      또한 낙엽 역시 나무에서 수분이 제거되어 바닥에 떨어지는 것이기에 불이 쉽게 붙을 수 있습니다.

      게다가 건조한 대기는 낙뢰의 위험도 있어 더욱 불이 잘 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겨울철은 북부대륙으로부터 불어오는 차갑고건조한 기단의 영향을 많이받습니다.


      즉, 습도가 매우낮아진상태가 되는데, 이때에는 불이 더 잘 붙고, 쉽게옮겨가기때문에 진화하기가 어렵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지경향 과학전문가입니다.

      건조해서 산불이 일어나면 빨리 번지기 때문입니다. 여름에는 수분을 많이 머금고 있어서 빨리 번지지않죠.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건조한 날씨 때문입니다. 비가 잘 오지 않고 건조하다보니 나무들, 나뭇잎도 잘 말라 있는 상태에서 산불이 나면 거침없이 타오르고 멀리 퍼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산불은 산에 불이 나는 것인데 공기중에 수분이 적은 가을에 많이 발생합니다

      가을에는 조그마한 불씨에도 금방 옮겨 붙어 산불이 커지기 쉽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