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유아교육 이미지
유아교육육아
유아교육 이미지
유아교육육아
대단한 후춧가루123
대단한 후춧가루12323.02.02

아이 교육을 위해서 직장을 그만두는 것이 맞을까요?

아이가 이제 곧 초등학교를 가는데, 저랑 남편 둘다 직장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아이 교육을 신경쓸 시간이나 여유가 너무 없는데,

한명은 직장을 그만두고 교육에 신경을 쓰는 것이 올바른 부모의 행동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02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초등학교 1학년에 입학하게 되면 교육환경 자체가 바뀌기 때문에

    나름대로 신경써야 할게 많으리라 생각됩니다.

    초등학교1학년 때는 부모님과 함께 등교를 하기도 합니다.

    아이 입장에서는 그 모습이 부러울 수도 있을 것입니다.

    글쓴이님의 아이 같은 경우에는 그동안 부모님이 맞벌이를 해왔기 때문에 어느정도 자립심이 키워져 있을 것 같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같은 경우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아이가 있는 경우에는 1년의 육아휴직이 가능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것은 국가에서 법으로 정한 기준이기에 많은 기업들이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더라고요.

    물론 여성들에게는 경력 단절이 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아무쪼록 중요한 시기인만큼 남편과 아이, 가족이 함께 모여 대화를 나눠서 결정하는게 어떨까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교육문제는 정답이 없습니다. 부모가 직접 아이를 케어한다고 하여

    아이가 공부를 잘할것라는 보장이 없기 때문입니다. 아이가 공부에 흥미가 없거나

    거부하는 경우 아무리 부모가 옆에 붙어서 케어를 해준다고 해도 어쩔수 없는 부분입니다.

    맞벌이를 하시면서 아이학업을 위해 학원이나 과외등을 시키는 것이 오히려 아이 교육에

    도움이 될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직장생활을 하면 아이가 가엽기도 하고 부모님도 지치기 마련인데, 개인적으로 저는 저의 생활을 위해서 일을 하는 것도 찬성이지만 아이도 환경에 적응하고 자립심을 키우는 것 같아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단점보다는 장점도 많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항상 육아엔 정답은 없는 것 같아요

    남들이 한다고 해서 지금 당장 해야 하는 것도 아니고, 남들이 하지 않는 다고 해서 그대로 따라할 필요는 없을 것 같아요.

    아이와 보내는 시간이 너무 없다고 느끼신다면, 평소에 아이의 의견을 존중해주시고, 많이 사랑한다고 항상 표현해 주시고, 평일날 함께 하지 못하면 주말에 아이와 즐거운 시간을 보내면 될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육아와 교육에는 정답이 없지만 어린시절 부모님의 참여는 분명 긍정적으로 작용합니다

    초등학교1학년 2학기만되어도 아이들이 혼자서 해낼 수 있다고 하는경우도 많이 있으니 퇴사보다는 휴직을 하시는게 어떨지 고려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