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은혜로운고릴라272
은혜로운고릴라272

나이든 어르신이 보리고개 예기를 하시는데 보리고개가 뭔가요?

나이든 어르신이 보리고개 예기를 하시는데 보리고개가 뭔가요?

(어떤 고개에 보리를 심어서 보리고개라고 했는 지 아니면 다른 뜻이 있어 보리고개라고 했는 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순금킹 시계퀸
    순금킹 시계퀸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가을에 거둔 곡식을 다먹고 보리가 익기전 5월즈음 에 식량이 없어서 굶었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그계절을 보릿고개라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보릿고개는 지난 가을에 수확한 양식은 바닥이 나고 보리는 미처 여물지 않은 5~6월(음력 4~5월), 농가생활에 식량사정이 매우 어려운 고비입니다.

    과거 먹기리가 많지 않던 시절에 식량이 떨어지는 시기에 대해 말하던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보리고개 혹은 보릿고개란 지난 해 가을에 수확한 양식이 바닥나고, 올해 농사지은 보리는 미처 여물지 않은 5 ~ 6월, 식량 사정이 매우 어려운 시기를 의미합니다. 다른 말로 춘궁기(春窮期)·맥령기(麥嶺期)라고도 합니다. 일제강점기의 식량 수탈과 6.25 전쟁으로 인해 당시 사람들은 극심한 굶주림 속에 살아야 했습니다. 대부분의 농민들은 추수 때 걷은 농작물 가운데 소작료, 빚, 이자, 세금 등 여러 종류의 비용을 뗀 다음에 남은 식량을 가지고 초여름 보리수확 때까지 견뎌야 했는데, 이 보리를 수확하기 이전까지의 힘든시기를 보리고개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보릿 고개는 는 지난 해 가을에 수확한 양식이 바닥나고, 올해 농사지은 보리는 미처 여물지 않은 5 ~ 6월, 식량 사정이 매우 어려운 시기를 의미한다고 합니다. 춘궁기(春窮期)·맥령기(麥嶺期)라고도 하는데요. 요즘이야 먹을 게 넘처나는 세상이지만 불과 40-50년 전만 해도 밥을 못 먹는 사람들도 많았었지요. 보릿 고개는 우리민족의 가난했던 아픈 역사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햇보리가 날때까지 넘기기 힘든 고개라는 뜻으로 묵은 곡식은 다 떨어지고 보리는 아직 덜 여물어 식량이 부족하여 지내기 어려운 상태를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보릿고개란 농가생활에 식량을 해결하지 못하는 매우 어려웠던 시기를 뜻합니다

    일제강점기부터 1950년대만 하더라도 매년가을에 수확한 양식들이 바닥나 굶주림에 시달리는 것이 일상이었습니다

    이러한 궁핍한 상황을 뜻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