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블록체인 업체들이 커스터디 서비스를 같이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이번에 출시한 백트도 커스터디 서비스를 같이 진행했고 대형 거래소들도 커스터디 서비스를 같이 진행 하는 상황입니다.
커스터디 서비스가 중요해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커스터디 서비스에 대하여 답변드리겠습니다.
커스터디 서비스는 고객의 자산을 위임 받아 관리/보관 해주는 서비스로 일반 은행의 역할과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대형거래소와 백트에서 커스터디 서비스를 하는 이유는 현재 블록체인 기술상 개인이 임호화폐를 직접관리하기 어렵고 해킹의 위험이 높기 때문에 보안시스템을 갖춘 기관에서 자금을 보관해주는 것이 상대적으로 안전하기 때문입니다.
백트거래소도 다양한 자산상품과 함께 안전한 보관을 위한 것이라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암호화폐 인플루언서로 활동하고 있는 레드문 이라고 합니다.
최근에 Defi 라고 불리우는 탈중앙화 금융이 점점 발달하고 있습니다. 금융 분야야말로 탈중앙화와 스마트컨트랙트로 대표되는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되기에 가장 알맞은 분야라는 말도 있지요.
최근 거래소 뿐만 아니라 다양한 블록체인 업체들이 모두 커스터디 (Custody) 시장에 뛰어들고 있는데요. 기존의 금융권들의 자산 수탁 업무란 송금, 환전, 계좌 개설, 주식 등 다양한 업무를 대행해 주고, 수수료를 받거나 환전에 따른 외환매매익을 얻거나, 예치 자금을 운용하여 이익을 얻곤 합니다.
그런데 기존 커스터디 시장은 높은 비용의 달러로 결제되고, 중앙화된 서버에 관리가 되어 있어서 해킹의 우려도 있는데요. 블록체인이야 말로, 전세계 국경 없이 코인으로 상호간 결제가 가능하여 송금, 환전 등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수수료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고, 탈중앙화 블록체인으로 보안에 더 강점이 있습니다.
또한 거래소던 블록체인 업체든 장기적으로 운용되려면, 안정적인 수익이 필요할텐데요. 자산 수탁의 커스터디 서비스야 말로, 상대적으로 안정된 수입을 보일 가능성이 크기에 너도 나도 뛰어들고 있는 형편입니다. 글로벌 거래소인 코인베이스의 커스터디가 13억 달러 규모의 자산을 보유중이라고 하니 커스터디 시장의 규모가 생각보다 엄청나기도 하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