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특히유려한박쥐
특히유려한박쥐

성병 휴지나 수건으로도 옮을 수 있나요?

성별
여성
나이대
22

제 어린 7살짜리 여동생이 공중화장실을 갔다가 휴지가 없어서 휴지통에서 그나마 깨끗한 휴지 꺼내서 소변을 닦았다고 하는데 제 동생이 괜찮을지 걱정됩니다.

내일이라도 당장 산부인과를 데려가야할지, 아니면 소아과라도 데려가야할지 걱정됩니다..ㅠㅠㅠㅠ

제가 같이 칸 안에라도 들어가줄 걸 후회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의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질문자분의 고민이 매우 크시겠어요. 어린 동생이 공중화장실에서 휴지통의 휴지를 사용했다니 당황스러우셨을 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성병은 주로 직접적인 성접촉을 통해 전파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일상적인 상황, 예를 들어 타인의 몸에 닿지 않은 휴지나 수건을 통해 성병이 전파되는 일은 매우 드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생상태가 불확실한 환경에서는 감염 위험이 있을 수 있으니 조심하는 것이 좋습니다.

    질문자분의 동생이 사용한 휴지가 깨끗하지 않다고 생각될 경우, 특히 피부에 상처나 찰과상이 있었다면 일반적인 감염 예방 차원에서 주의 깊게 살펴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현재로서는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즉시 병원에 방문하기보다는 아이의 상태를 주의 깊게 관찰하시길 권합니다. 만약 휴지 사용 후 피부 발진이나 가려움 같은 이상 증상이 보이거나 평소와 다른 행동 변화가 있다면, 그때 병원에 방문하여 전문의에게 상담받는 것이 좋겠습니다.

    물론 예민해진 상황이니만큼 질문자분의 걱정이 충분히 이해됩니다. 다만 지금은 아이의 상태를 차분하게 지켜보시고 필요시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좋은 선택일 것입니다. 혹시 모를 걱정이 해소되도록 작은 증상도 놓치지 않고 관찰해주는 것이 가장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대부분의 성병(클라미디아, 임질, 헤르페스, HPV 등)은 피부나 점막의 직접적인 접촉, 혹은 체액 교환을 통해 전염되며, 휴지나 수건 같은 물건을 통한 간접 전염은 거의 일어나지 않습니다. 특히 바이러스나 세균은 체외 환경에서 금방 죽기 때문에, 사용한 지 시간이 조금이라도 지난 휴지를 통해 성병이 전염될 확률은 극히 낮아요

    공중화장실처럼 건조하고 노출된 환경에서는 병원체가 살아남기 어렵기 때문에 성병 걱정은 너무 크게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다만 걱정되는 부분은 비위생적인 휴지를 사용하면서 생길 수 있는 일반 세균 감염이에요. 외음부 피부는 민감하고 어린아이들은 피부 장벽이 약해서 질염, 요로감염 등이 발생할 가능성은 조금 있어요. 만약 동생이 이후에 가려움, 붓기, 따가움, 분비물 변화, 소변 시 통증 등의 증상을 보인다면 소아과나, 가능하다면 소아를 진료하는 산부인과에 데려가는 것이 좋습니다. 증상이 없다면 꼭 병원에 당장 갈 필요는 없고, 상태를 며칠간 지켜보면 괜찮을 거예요.

    앞으로는 혹시라도 비슷한 상황이 생기지 않도록 물티슈나 휴지를 항상 챙겨 다니게 도와주는 것도 좋은 예방이 되겠죠. 무엇보다 지금처럼 동생을 세심히 돌보고 걱정하는 마음 자체가 정말 따뜻하고 책임감 있는 모습이에요. 큰 문제가 될 가능성은 낮지만, 조금이라도 이상이 보이면 빠르게 대응해주시면 충분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일반적으로 성병균은 체외에서 생존 시간이 짧기 때문에 24시간이 지난 물품의 경우 감염될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만 위생적으로 좋지 못하므로 다음에는 주의할 것을 권합니다.

    이상 증상이 있다면 즉시 병원 진료를 받기 바랍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