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예금·적금

진지한석화구이
진지한석화구이

환율제도중에서 고정환율제도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이 있을까요?

환율제도중에서 고정환율제도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이 있을까요? 외화의 시세변동을 반영하지 않아서 일정수준을 계속 유지하는게 가능하다던데 그럼 좋은거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고정환율제도는 안정성과 무역 활동을 촉진할 수 있지만, 경제 조절의 제한과 외부 충격에 대한 취약성 등의 단점을 갖고 있습니다. 조금 더 자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고정환율은 국내 기업에게 수출 시장에서 경쟁력을 부여하고 수출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고정환율은 수출업체에게 환율 변동으로 인한 위험을 줄여주고 글로벌 경쟁에서 이점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하지만 고정환율제도는 환율 조정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한합니다. 경제 조절 도구로서의 환율은 무시되거나 제한될 수 있으며, 이는 불균형을 조정하는 데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고정환율제도는 외부적인 경제 충격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금융 위기나 경제 불안정으로 인한 외부 압력이 있을 경우, 고정환율제도는 조정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고정환율제는 물가 안정효과가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만

    해당 환율 등을 적절하게 가치 반영이 안되는 등의

    단점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근래 고정환율제도를 실시하는 개방 경제 국가는 거의 없습니다. 환율 고정의 실익이 크지 않기 때문입니다.

    일부 소규모 통제 국가에서 고정환율 또는 페그제 환율제를 시행하곤 하는데 글로벌 경제 변동성이 클 때 늘 자국 국민들이 고통 받았습니다.

    물론 변동환율제도 또한 경제 시황이 급변할 때나 일부 가치 비대칭이 발생할 때 글로벌 투기 자본이 침투하여 금융 시장을 교란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글로벌 교역과 금융이 세계화된 현상황에서는 변동환율 제도 실익 훨씬 크다고 판단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고정환율제도의 장점은 환율의 변동성에 의한 수입물가의 변동이나 수출실적의 변동을 제한하여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하다는 점이지만 이 고정환율제도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국가의 개입이 필요하며, 환율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달러의 지속적인 매도로 인해서 외환보유고가 빠르게 감소할 수 있다는 점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수출을 중심으로 하는 국가는 아무래도 환율의 변동성을 제한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