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해외 원조 규모는 어느 정도인가요?
우리나라 정부가 공식적으로 해외에 무상으로 원조하는
규모는 어느 정도 규모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어느 나라에 주로 원조가 가나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의 공식 해외 원조 규모에 대한 내용입니다.
우리나라의 공식 ODA 규모는 2022년에는 약 2,810M 달러를 지원하였다고 합니다.
그리고 2023년에는 더 늘어서 3,131M 달러로 늘어나게 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의 해외 원조 규모는 2023년 기준으로 약 3조 7,000억 원 이상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개발원조위원회(DAC) 회원국 중에서 중요한 기여국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주요 원조 대상국으로는 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등 개발도상국들이며, 특히 베트남, 우간다, 필리핀과 같은 국가들이 주요 수혜국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해외 원조도 기준에 따라서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 제가 조사한 자료에서 2022년 기준으로 1 조 3000억원 정도 된다고 나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23년도 공적개발원조(ODA) 지원실적은 양자원조(23.0억불)와 다자원조(8.3억불)의 실적이 고르게 증가하였으며, 특히 세계은행·국제통화기금(IMF) 등 국제금융기구에 대한 출자·출연이 증가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정부가 공식적으로 해외에 무상으로 원조하는
규모는 약 2조원 이상으로 추정됩니다.
원조 국가는 주로 동남아, 아프리카, 중남미 지역 국가들입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해외 원조규모는 27억 달러오 OECD 개발원조위원회 회원국 중 중간 정도 수준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지난해 한국의 공적개발원조(ODA) 규모가 31억3000만 달러(4조4000억 원)로 잠정 집계되었다고 합니다. 지난 2022년 대비 3억2000만 달러(4400억 원, 11.4%) 가량 늘어난 규모입니다.
외교부는 14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산하 개발원조위원회(DAC)가 발표한 ODA 잠정 통계를 소개하면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지난해 ODA 지원 실적은 원·달러 환율 변동이 둔화한 가운데 국가에 직접 지원하는 양자원조(23억 달러)와 국제기구를 활용해 간접 지원하는 다자원조(8억3000만 달러) 실적이 고르게 상승했다고 합니다.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권혁철 경제전문가입니다.
많은 분들이 우리나라의 해외 원조 규모와 대상국에 대해 궁금해하시는데요, 저도 비슷한 질문을 자주 받습니다.
2022년 기준, 한국의 공적개발원조(ODA) 총액은 약 27.9억 달러로, 이 중 무상원조는 약 15억 달러로 전체의 68.9%를 차지합니다.
주요 지원 대상 지역은 아시아(46%)와 아프리카(28%)로, 특히 사회 인프라 및 서비스 분야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원은 개발도상국의 경제·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위상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