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빠른정보
빠른정보

같은 음식이라도 사람마다 맛을 다르게 느끼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성별
남성
나이대
40

같은 음식을 먹더라도 사람마다 맛을 다르게 느끼는데 혀의 감각 기관의 차이 때문인지 아니면 뇌가 인식하는 방식의 차이 때문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같은 음식을 먹더라도 사람들이 맛을 다르게 느끼는 이유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첫째, 사람마다 혀에 있는 미각 세포의 수나 분포가 다릅니다. 미각 수용체는 단맛, 짠맛, 신맛, 쓴맛, 그리고 감칠맛을 감지하는데, 개인마다 이 수용체의 민감도가 다를 수 있어요. 또한, 일부 사람들은 특정 맛에 더 민감하거나, 특정 맛에 대한 수용체가 덜 활성화될 수도 있죠. 예를 들어, 단맛이나 쓴맛에 대한 민감도가 개인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둘째, 뇌가 맛을 인식하는 방식에도 차이가 있습니다. 맛을 느끼는 것은 단순히 혀에서 감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뇌가 이를 처리하고 해석하는 과정입니다. 사람마다 경험이나 기억, 감정 상태에 따라 같은 맛도 다르게 해석할 수 있죠.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어떤 음식에 대해 긍정적인 경험을 가지고 있다면 그 음식의 맛을 더 맛있게 느낄 수 있고, 반대로 부정적인 경험이 있다면 더 맛이 덜하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개인의 유전자 차이나 건강 상태도 맛의 인식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사람마다 같은 음식을 다르게 느끼는 이유는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먼저, 혀에는 맛을 감지하는 미뢰라는 감각 기관이 존재합니다. 미뢰는 단맛, 짠맛, 쓴맛, 신맛, 그리고 감칠맛이라는 다섯 가지 기본 맛을 인식하는데, 사람마다 미뢰의 수와 민감도가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같은 맛을 다르게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맛을 인식하는 과정에서 후각도 큰 역할을 합니다. 음식의 향이 맛의 전반적인 인식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후각의 차이도 맛을 다르게 느끼는 중요한 이유 중 하나입니다. 예를 들어, 코가 막힌 상태에서는 음식의 맛을 온전히 느끼기 어려운 경험을 해보셨을 텐데, 이는 맛과 향이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뇌가 맛을 해석하는 과정 역시 각 개인의 경험, 문화적 배경, 심리적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기분이나 환경, 또는 어릴 때부터 접해온 맛의 경험 등이 모두 뇌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결국 맛을 느끼는 방식에 변화를 줍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