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왜 부산 경남, 대구 경북을 PK, TK로 부르게 되었나요?
다른 지역의 도시들인 광주나 대전 등은
그 도시와 도의 이니셜로 부르지 않고 있는데
유독 경상도 지역의 두 큰 도시인
부산과 부산이 위치한 경남
대구와 대구가 위치한 경북 등을 합쳐서
PK, TK로 부르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PK는 부산(Pusan)과 경남(Kyongnam), TK는 대구(Taegu)와 경북(Kyongbuk)의 옛 영어 표기 앞 글자를 딴 약칭입니다. 다른 지역과 달리 이 용어들이 생긴 건, 과거 우리나라 정치에서 영남 지역(부산, 경남, 대구, 경북)이 특정 정치 세력의 아주 강한 기반이 되면서 이 지역들을 하나로 묶어 부를 필요가 커졌기 때문이에요. 정치적 중요성과 지역적 결속 때문에 생긴, 이 두 지역에 좀 더 특별하게 쓰이는 표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부산 경남 PK와 대구 경북 TK 이라는 명칭은 과거 한글 로마자 표기법인 매큔 라시 라이샤워 표기법 에서 유래했습니다. 과거에는 부산을 PUSAN 대구를 TA이지유로 표기 쌉니다. TK 대구 경북은 전통적으로 보수 성향이 강한 지역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K 부산 경남은 정치적 성향이 다양하여 선거에서 중요한 승부처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현재는 단순한 지역 명칭을 넘어. 정치적 사회적 의미를 포함하루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PK와 TK는 각각 부산경남, 대구경북의 예전 로마자 표준 표기법을 바탕으로 나온 표현입니다.
이 디역의 정치 성향 차이가 뚜렷해서 분석 대상이 되다보니 독특하게 이 지역들만 이니셜로 부르던 것이 정착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