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창백한 푸른점
창백한 푸른점24.01.22

3월 금리인하 가능성이 떨어지는 이유

얼마전에는 3월이면 미국연준에서 금리인하를 시작할거라는 예상이 많이 있었는데 점점 지금은 가능성이 떨어지고 있던데 그 이유가 뭐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물가가 아직도 2%대에 진입하지 못하는 등

    이에 따라서 미 연준에서 3월 금리 인하를 할 가능성이 떨어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현재 미국 경제가 탄탄하며, 이스라엘 전쟁과 홍해바다 이슈로 물가가 한 번 더 상승할 수 있는

      여지가 남아있기 때문에 3월은 이르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 이에 따라 상승은 5월로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고용이나 기업의 실적이 생각보다 나쁘지 않아서 그런 거 같습니다. 그러면 굳이 빨리 금리를 내일 필요가 없게 됩니다. 경기가 나쁘지 않으니 지금 금리를 좀 더 유지하면서 물가는 더 떨어트리는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의 태도 변화가 가장 직접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먼저 마이클 바 연준 부의장이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이후 도입됐던 긴급 대출 프로그램을 3월 종료한다”고 밝힌 데 이어,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 총재가 “오는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인하를 기대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지적했기 때문이다.


  •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미국 연준이 3월에 금리인하를 시작할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미국의 물가상승률이 지난 11월 8.6%로 4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12월에는 7.5%로 소폭 하락했습니다.

    • 미국의 경제성장률이 2023년 1분기에 1.5%로 예상보다 낮게 나타났습니다.

    • 미국의 소비자심리지수(CSI)가 2023년 12월에 41.9로 1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지표들은 미국의 경기가 둔화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되었습니다. 따라서 연준이 경기 침체를 우려하여 금리인상 속도를 조절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3월 금리인하 가능성은 점차 떨어지고 있습니다.

    • 미국의 물가상승률이 2023년 12월에 소폭 하락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미국의 고용지표가 2023년 12월에 양호한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 미국의 제조업 지표가 2023년 12월에 개선되었습니다.

    이러한 지표들은 미국의 경기가 아직은 견조하다는 신호로 해석되었습니다. 따라서 연준이 물가를 잡기 위해 금리인상을 계속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물론, 연준이 3월에 금리인하를 할 가능성은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가능성이 낮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인 시각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3월의 금리인하 가능성은 사실상 처음부터 불가능하였던 것인데, 이를 언론에서 크게 부풀려서 이야기했던 것이 없지 않아 있었어요. 그런데도 불구하고 이런 기대감마저도 없어지고 있는 것은 미국의 인플레이션율이 재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미 연준이 목표로 하는 2%대 도달이 중순까지 미뤄지게 될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