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빼어난양241
빼어난양241

블랙홀은 왜 블랙이라는 이름을 갖은건가요?

블랙홀은 실체를 본적도 없고 오직 주변 그림자만 볼수 있는데요 그런데 왜 블랙홀은 블랙이라는 이름을 갖게된 이유가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블랙홀은 중력이 워낙 강해서 빛도 탈출을 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사건의 지평선 안쪽은 관측이 불가능합니다. 모든 것을 빨아들이기 때문에 블랙홀이라는 이름이 붙은 것 같네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블랙홀이 블랙으로 이름을 불리우는 가장 큰 이유는 빛조차 빠져나올수 없는 강력한 중력을 가진 천체이기에 그렇습니다. 블랙홀은 주변의 모든 물질과 에너지를 끌어당기는 중력을 가지게 되며 그 중력의 힘이 너무 강해서 빛조차 탈출할수 없게 되는 것이지요~ 블랙홀은 외부에서 볼 때 아무런 빛도 방출하거나 반사하지 않게 되면서 완전히 어두워 보이는 블랙의 형태가 나타나게 되는것이지요. 블랙홀의 가장 큰 특징은 중력이 매우 강력하다는것이며 물리학적으로 특이점이라고 불리우는 곳에 의해서 질량이 무한히 작은 공간에 집중되어 있고 그 주변의 공간은 극도로 휘어지며 중력이 무한에 가까워지게 되는 것입니다~!블랙홀이라는 용어의 기원은 존 아치볼드 휠러가 1967년 동그란 검은별이라고 불리우던 것을 중력붕괴체와 같은 표현을 사용하다 블랙홀이라고 간결하게 대중화된 단어를 사용하게 되면서 유래되게 되었습니다! 블랙홀 자체는 빛을 방출하거나 반사하지 않기에 직접적으로 볼수 없으며 가스나 먼지 등이 블랙홀로 끌려가게 되면서 매우 빠르게 회전하거나 고온으로 가열하게 되어 X선이나 감마선과 같은 고에너지 방사선을 방출하며 간접적인 확인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블랙홀의 주변을 통과하는 빛이 중력에 의해 굴절되어 중력렌즈 효과를 일으키기도 하고 끌려들어가는 과정에서 주변의 물질이 강력한 X선을 내기도 하는 것이지요~ 블랙홀은 2019년 처음으로 ㅅ자ㅣㄴ을 통해 밝혀졌으며 M87 은하 중심부에 있는 초거대질량 블랙홀을 호라이젠 망원겨을 이용하여 측정하게 되었습니다~ 사진 속에 중앙의 어두운 부분이 블랙홀의 사건의 지평선이며 그 주변에서 뜨겁게 빛나는 가스들이 블랙홀로 빨려들어가며 밝게 빛을 발산하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