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아리따운두견이185
아리따운두견이185

노시보 효과( Nocebo Effect)가 궁금합니디?

노시보 효과는

Nocebo Effect

의사가 사람들에게 아무 작용이 없는 물질을 주고,

예를 들면 ‘이것을 먹으면 머리가 아플것이다.'고 하면

실제로 두통이 생기는 현상이라고 하는데

노시보 효과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진실한침팬지249
    진실한침팬지249

    노시보 효과란 적어주신대로 부정적인 믿음 때문에 실제로 부정적인 결과가 나타나는 현상을 나타냅니다.

    아무런 효과가 없는 약을 복용하더라도 약이 효과가 있다는 긍정적인 믿음을 가지면 치료효과를 볼 수 있음을 의미하는 플라시보 효과와 정반대의 개념이죠!

    1942년 아이티섬에서는 원시 종교인 부두교의 주술사에게 저주를 받은 사람들 중 많은 사람들이 사망했는데, 저주의 위력에 대한 믿음이 죽음에 이르는 데 주요한 작용을 했을 것이라는 점에서 노시보 효과의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 '노세보 효과(Nocebo effect)'라고 하며, '역 위약효과(逆 僞藥效果)'라고도 합니다.

     


    ▣ 노세보 효과(Nocebo effect) / 노시보 효과 / 역 위약효과(逆 僞藥效果)

     

    '노세보 효과(Nocebo effect)'는 '해를 끼치다', '다치게 하다'라는 의미의 라틴어 'nocebo'에서 유래된 것으로서, 실제로는 무해한 것이지만 그것이 해롭다는 암시 혹은 믿음으로 인해 부정적 효과가 야기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즉, 적절한 처방이나 약도 정작 환자 본인이 믿지 않고 의구심을 가지면 약을 먹는다 해도 잘 낫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플라세보 효과의 긍정적인 영향보다 노세보 효과의 부정적인 영향이 더 크게 반영된다는 사실입니다. 같은 크기의 기쁨과 고통이 있다면 긍정적인 부분보다 고통스럽고 부정적인 부분이 더 크게 인간의 생활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다음은 실제 있었던 2가지 사례입니다.

     

    - 담석증 수술이 예정되어 있던 어느 여인은 자기 배에 칼을 댄다는 사실을 몹시 두려워했었는데, 수술준비를 위하여 그 여인을 수술대 위에 올려 놓고 차가운 알콜로 배를 소독하자 그 여인은 칼을 배에다 댔는지 알고 쇼크사 했다고 합니다.

     

    - 34명의 대학생 중 2/3가 넘는 사람이 그들의 머리 위로 전류가 지나가며(실제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았지만), 그 전류가 두통을 일으킬 수 있다는 말을 듣고 두통이 생기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약을 올바로 처방했는데도 환자가 의심을 품으면 약효가 나타나지 않는 현상이다.

    효과 없는 약도 환자가 약효를 믿으면 병세가 개선되는 현상인 플라시보 효과(Placebo effect)와는 정반대다.

    심지어 죽음에도 이를 수 있는 노시보 효과

    노시보 효과는 어떤 해도 끼치지 않는 물질에 의해 병이 생기거나 심지어 죽음에 이르는 경우까지 발전하기도 한다.

    진료하는 의사를 표현한 루크 필데스의 작품

    풍토병이 돈다는 소문이 퍼지자, 그 지역 사람들의 상당수가 감염되지 않았음에도 이유 없이 발진, 발열, 구토 등 풍토병 증상을 호소하는 것이 그 예이다.

    약의 효능보다 말 한마디가 환자에게 더 강력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의사들은 실제로 많은 환자가 부정적인 진단을 받은 뒤 빠른 시일 내에 사망하는 현상을 목격한다.

    다음의 약품 임상 시험 내용을 통해서 노시보 효과의 한 예를 볼 수 있다.

    한 젊은 남자가 약품 임상 시험에 참여했고, 남자는 그 약이 항우울제라고 생각했다.

    항우울제라고 판단한 약을 과다 복용하자 남자의 상태는 위독해졌다.

    그러나 인체에 무해한 가짜 약을 복용하던 집단에 속해 있었다는 말을 듣자 남자는 건강을 회복했다.

    사실 남자가 복용했던 약은 진짜 항우울제였다.

    플라시보 효과 대 노시보 효과

    플라시보 효과가 ‘이루어질 거라는 기대의 긍정적인 효과’를 반영한다면, 노시보 효과는 ‘부정적인 암시가 초래하는 부정적인 결과’를 의미한다고 말할 수 있다.

  • 노시보 효과에 대하여 말씀드리자면

    약을 올바로 처방했는데도 환자가 의심을 품으면 약효가 나타나지 않는 현상을 말합니다.

    효과 없는 약도 환자가 약효를 믿으면 병세가 개선되는 현상인 플라시보 효과(Placebo effect)와는 정반대의 경우입니다.

    플라시보 효과가 ‘이루어질 거라는 기대의 긍정적인 효과’를 반영한다면, 노시보 효과는 ‘부정적인 암시가 초래하는 부정적인 결과’를 의미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