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안과

구체적목표,바로성취,결과피드백
구체적목표,바로성취,결과피드백

안구건조증을 없애기 위해서 매일 물을 2리터 이상 마시면 효과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성별
여성
나이대
37

컴퓨터나 핸드폰등을 장시간 보고 있으면 눈이 간지럽거나 따가워지고

오랫동안 방치를 하다보니 안구건조증이 생겼다고 하는데,

병원처방으로 눈에 넣는 물약을 수시로 넣고 있고

계속 눈물약을 넣는것도 잊는경우가 많은데,

이에 대체방법으로 평상시에 물을 매일 2리터씩 마시는 것도 효과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의 김민성입니다. 질문자분의 내용을 잘 읽어보았습니다. 안구건조증을 완화하기 위해 하루에 물을 2리터 이상 마시는 것이 효과가 있을지 궁금해 하시는군요. 안구건조증은 눈물이 충분히 생성되지 않거나 증발이 심해져서 눈이 건조해지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물을 충분히 마시는 것은 신체 전반의 수분 균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직접적으로 안구건조증을 개선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컴퓨터나 핸드폰을 장시간 사용하면 눈이 건조해지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자주 눈을 깜빡이거나, 일정 시간마다 화면에서 눈을 떼고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질문자분이 언급한 병원 처방의 인공눈물은 일시적으로 눈의 건조함을 완화시키는 데 효과적입니다. 인공눈물을 넣는 것을 자주 잊으신다면, 생활 속에서 습관화하는 방법을 찾아보는 것도 좋고, 눈을 자극하지 않는 방법을 시도해 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결론적으로, 물을 많이 마시는 것은 전반적인 건강에 유익하지만 안구건조증 해결에는 제한적입니다. 꾸준히 인공눈물을 사용하면서 생활 습관을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스스로의 건강을 돌보는 다양한 노력을 통해 증상이 완화되길 바랍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탈수가 되면 눈물도 줄어드는게 맞아서 탈수인 상황이라면 물을 보충해주는게 눈물분비를 늘리는데 도움을 주겠습니다.

    그런데, 탈수 상태가 아니라면 추가적으로 아무리 물을 많이 마셔도 눈물 분비는 늘어나지 않습니다.

    물을 많이 먹으시기보다는 무언가를 집중해서 보다보면 눈깜빡임이 줄어드는게 안구건조에 가장 큰 원인이기 때문에 일부러라도 눈을 깜빡깜빡 해주시거나 중간중간 휴식시간을 가져주시는게 도움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눈 주변을 손으로 마사지 해주시거나 온찜질을 해주시는게 눈물 분비를 늘려서 도움이 되겠습니다.

    이때, 절대로 손으로 안구 자체를 누르거나 비비지는 마시지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는 것은 건강에 바람직하겠으나 안구건조증 개선에 큰 효과를 기대하긴 어렵겠습니다.

    그 보다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와 같은 전자기기 사용을 줄이고 중간에 휴식을 가지며 눈이 건조하지 않도록 인공 눈물을 자주 사용하고 그래도 건조 증이 심하다면 안과 진료와 치료가 필요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안구건조증을 완화하기 위해 매일 충분한 물을 마시는 것은 어느 정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물을 충분히 섭취하면 체내 수분 균형을 맞추고 눈의 수분 상태를 개선하는 데 일부 도움이 될 수 있어요. 눈의 건조함은 눈물샘의 기능 저하나 환경적 요인으로 발생하는데, 물을 마셔 체내 수분이 충분하면 눈물의 양이 늘어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물만 마시는 것으로 안구건조증을 완전히 해결할 수는 없습니다. 눈에 수시로 넣는 인공눈물이나 처방받은 약물이 실제로 눈에 보습을 더해주고, 건조증을 직접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장시간 컴퓨터나 핸드폰을 사용할 때 눈을 자주 깜빡이거나 20-20-20 규칙(20분마다 20초간 20피트(6미터) 떨어진 곳을 보기)을 실천하는 것도 도움이 되죠

    따라서 물 2리터 이상 마시기는 일상적인 수분 섭취로 좋지만, 안구건조증 완화를 위해서는 눈에 맞는 처방약과 습관 개선이 병행되어야 더 효과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