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안과

참신한콜리104
참신한콜리104

한쪽눈아래 번쩍거릴때 안과가야하나요?

나이
41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위염약
기저질환
없음

내시경결과 약한 위염이라고 위염약 복용 4일째인데

한쪽눈 아래 번쩍거림이 있습니다

이전에도 이따금씩 번쩍거림이 있어

안과 망막사진 찍었을때 이상은 없었으나

다시찍어보는게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말씀하신 증상은 광시증입니다.

    광시증은 유리체의 노화로 인하여 액화가 일어나고 액화된 유리체가 망막을 때리면서 번쩍거리는 증상이 나타는것입니다.

    특이소견은 아니니 지켜보셔도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평소 이상을 느끼던 것보다 증상이 더 심하게 나타난다거나 변화가 느껴지신다면 이전에 검사를 받아보셨다고 하더라도 안과를 다시 방문해보시는 것이 안전하다고 보입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위염 치료 중 한쪽 눈에 번쩍거림이 있다면, 이는 위염 약물의 부작용일 가능성보다는 안과적 질환의 가능성을 먼저 고려해야 합니다. 눈의 번쩍거림은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편두통: 편두통의 전조 증상으로 눈의 번쩍거림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후부 유리체 박리: 눈 뒤쪽 유리체가 망막에서 분리되면서 번쩍임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망막 질환: 망막 열공, 망막 박리 등의 질환에서 번쩍거림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4. 안구 건조증: 눈의 건조함으로 인해 불편감과 함께 번쩍거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도 간헐적인 번쩍거림이 있었고, 이전 안과 검진에서 이상이 없었다고 하더라도 증상이 지속된다면 안과 재진찰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눈은 매우 민감한 기관이므로, 작은 증상이라도 전문의의 진찰을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안과 진찰 시 세극등 현미경 검사, 안저 검사, 필요시 빛간섭단층촬영(OCT) 등의 검사를 통해 번쩍거림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을 바탕으로 적절한 치료 방법을 결정하게 될 것입니다.

    번쩍거림 증상과 함께 심한 두통, 시야 장애, 충혈, 통증 등이 동반된다면 더욱 신속한 안과 진료가 필요합니다. 눈 건강을 위해 증상을 가볍게 여기지 말고,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증상이 지속된다면 혹시 모르므로 재차 검사를 한 번 확인해보는 것이 안전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이상이 없다고 재차 나올 수도 있지만 안과에서 다시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이호 의사입니다.

    안과에 가서 망막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번쩍거림은 망막의 이상으로 인한 증상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안과에서 망막 검사를 통해 망막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고, 이상이 있다면 적절한 치료를 받으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