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GTA를좋아하는트럭소녀간호사
GTA를좋아하는트럭소녀간호사

새들은 지도가 없는데 동서남북 방향을 어떻게 알까요??

안녕하세요.

보통 먼거리를 이동하는 새들이 있잖아요.

그런 새들이 그렇게 먼 거리를 이동하려면

어느쪽이 북쪽인지 어느쪽이 남쪽인지 등을 알아야할텐데

어떻게 목적지로 가는걸까요??

이미지로 기억하는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새들의 항속 비행능력은 여러 요소들에 의해 결정됩니다. 많은 연구에 다르면 일부 새들은 지구의 자기장을 감지하는 능력이 있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이들은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해 방향을 정하고 길을 찾습니다. 자기장을 감지 할 수 있는 이유는 뇌에 있는 특수한 세포 또는 부리 근처의 신경 조직을 통해 가능할 것이라는 주장이 있습니다. 새들은 낮과 밤에 비행하는 기준점이 있습니다. 낮의 경우 태양의 위치를 이용해 시간에 따라 방향을 파악합니다. 또 밤에는 별의 위치를 사용하여 방향을 정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를 통해 낮밤 구분없이 방향을 정해 비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습니다. 장거리를 이동하는 새들은 이전의 비행 이동 경험을 기억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같은 경로를 반복해서 이동할 수 있습니다. -낮밤의 기준점과 유사함- 첫 장거리 비행 때 어른 새들을 따라 이동하며 배운 경로를 성체가 되어 개별적인 장거리 비행을 할때 그 경로 그대로 비행하는 양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 새들은 눈에 크립토크롬4라고 하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센서가 있어 지구가 항상 내보내고있는 자기장을 시각적으로 감지하여 방향을 찾아 날아간다고 합니다.

  • 새들은 태양의 위치를 활용하여 동서남북을 알아냅니다. 태양이 동쪽에서 떠오를 때는 남쪽을 가리키고, 서쪽으로 지는 때는 북쪽을 가리킵니다.

    또는 지구의 자기장을 활용하여 방향을 알아냅니다. 지구 자기장의 방향을 감지하여 동서남북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 지구의 주변으로 지구에서 발생한 자기장이 존재합니다.

    자석의 자기장처럼 일정한 뱡향으로 이동하는데요.

    새들의 눈에는 이런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는 단백질이 존재해서

    자기장을 감지하여 마치 나침반을 사용하는 것과 같다고 합니다.

    최근에는 인공 전자기파에 의해 새들의 자기장 감각 능력에 혼란을 주어 방향감각을 잃는 경우가 생긴다고 합니다.

  • 가장 잘 알려진 방법은 태양의 위치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새들은 태양의 움직임을 통해 동서남북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많은 새들이 지구의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 이를 이용해 방향을 찾기도 합니다. 어떤 새들은 별자리를 이용하여 밤에 이동하기도 합니다. 뿐만 아니라, 지형지물, 냄새, 초저주파 음파 등 다양한 환경적 단서를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방향을 찾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능력은 본능적이며, 유전적으로 전달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몇몇 연구에 따르면 새들은 이동 경로를 시각적으로 기억하기도 하는데, 이는 뇌 속에 일종의 '인지 지도'를 형성하는 것으로 추측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