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용감한나방218
용감한나방21823.11.30

흡열반응을 하면 주변의 열을 흡수해서 주변이 시원해진다고 하는데 흡수된 열은 어디로 가나요?

1)흡열반응을 하면 주변의 열을 흡수해서 주변이 시원해진다고 하는데 흡수된 열은 어디로 가나요?


2)발열반응은 주변이 따뜻해진다고 하는데 발열반응을 일으키는 자체는 열이 나갔으니 그 자체는 시원해지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흡열반응은 주변의 열을 흡수하여 반응에 참여하는 물질이 에너지 상태를 바꾸는 과정입니다.

    이때 흡수된 열은 물질의 분자나 원자의 운동에너지로 변환되어, 그 물질의 온도를 높이거나 물질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얼음이 녹을 때 주변의 열을 흡수하여 얼음의 분자가 고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변화하는 것이 흡열반응의 가장 대표적인 반응이죠.

    따라서 흡열반응이 일어나면 주변의 온도가 낮아지는 현상을 느낄 수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흡열반응을 하면 주변이 시원해지는 이유는 열이 흡수되기 때문입니다. 열은 에너지의 형태로서 흡수된 열은 다시 다른 형태의 에너지로 변환됩니다. 이 변환된 에너지는 주변으로 방출되어 주변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느끼는 시원함은 주변의 공기가 열을 흡수하여 냉각되기 때문입니다. 이때 열은 공기 분자들의 운동 에너지로 변환되어 방출됩니다. 또는 물체의 표면에서 열이 흡수되면 그 열은 물체 내부로 전달되어 물체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 열 전도: 주변의 물체나 공기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열을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열 전도는 물체의 열 전도도에 의해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열을 흡수한 물체가 주변 공기와 접촉하면, 열이 물체의 표면에서 주변 공기로 전달됩니다.

    - 대류: 열을 흡수한 물체가 주변 공기와의 열 교환을 위해 대류 현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는 먼저 열이 흡수된 물체 주변의 공기가 데워져 상승하고, 대신 차가운 공기가 내려와 열을 흡수한 물체를 데우는 과정으로 열 전달이 이루어집니다.

    - 복사: 열을 흡수한 물체는 열 복사라는 현상을 통해 열을 주변으로 방출할 수 있습니다. 열 복사는 전자기파의 형태로 열을 전달하는데, 예를 들어 물체가 주변에 열을 방출하면 주변 공간의 물체나 표면이 그 열을 흡수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