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치질의 어원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우리는 밥 먹고 칫솔질을 하는 것을 양치질이라고 하잖아요 이런 양치질이란 단어가 어떻게 해서 생겨나게 되었는지 양치질이 어원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가장 유력한 설은 '양치'가 버드나무 가지를 뜻하는 '양지(楊枝)'에서 유래했다는 것입니다. 과거에는 버드나무 가지를 이용하여 이를 닦았는데, 이를 '양지질'이라고 불렀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양지질'이 '양치질'로 변형되었고, 이가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양치질'이라는 단어가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양치질의 '양치(養齒)'는 버드나무 가지를 뜻하는 '양지(楊枝)'에서 온 말로, 가지 지(枝)자와 발음이 비슷한 이 치(齒)자가 대신 와서 양치질이 된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양치질은 버드나무 (楊)의 가지 (枝)로 입안과 치아를 청소하던 것에서 유래한 양지 (楊枝)질 이 어원이라고 합니다. 養齒 (양치)라는 한자로 표기도 쓰이지만 이는 민간어원 으로 후대에 붙인 것 이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양치질 또는 이닦기는 치약이나 소금 따위로 이를 닦아낸 뒤 물로 입 안을 가셔 내는 일을 말합니다. 간단히 양치로 줄여서 말하기도 합니다. 현대의 양치질이 자리잡은 것은 17세기 말부터 유럽에서 비롯되었습니다. 대량 생산되는 칫솔은 1780년 잉글랜드에서 개발되었습니다. 미국에서는 칫솔이 19세기에 가능했지만 병역 기간 동안 미군이 양치질을 했던 제2차 세계대전까지 널리 보편화되지는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