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주식시장에서 유상증자방식은 여러가지 인가요?
주식을 하면서 자금목적이나 운영자금확보를 위해 제3자배정으로 최대주주에게 배정을 하는경우 시장에서 어떻게 반응하는지 궁긍 합니다.
또다른방식은 어떤게 있나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위와 같은 제3자 배정 유상증자와 같은 경우 경우에 따라서 다릅니다.
시장에서 호재로 받아들일 때도 있고 악재로 받아들일 때도 있으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자금목적이나 운영자금확보를 위한다면 일단 일반 유상증자를 하고 증자가 참여하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제3자배정을 하는 것이 순서입니다.
그런데 제 3자 배정 유상증자를 한다는 의미는 시장에서 부정적 반응을 줄 수 있습니다. 기존 주주들의 지분 희석 우려(주식수 증가), 최대주주의 지배력 강화(소액주주 피해), 회사의 재무 상황이 좋지 않다는 신호등 입니다.
물론 증정적 반응도 있습니다. 최대주주의 투자하는 것임으로 회사의 신뢰, 회사의 성장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잇고, 재무적 안정성 개선의 기대도 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자금 조달 방식으로는,
주주배정 유상증자(기존 주주들에게 지분율에 따라 신주를 배정하는 방식),
일반공모 증자(불특정 다수의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신주를 발행하는 방식)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주주배정 후 남은 주식을 일반 투자자에게 공모하는 방식)
전환사채(CB) 또는 신주인수권부사채(BW) 발행하는 방법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유상증자 방식에는 크게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습니다:
1. 우선주발행: 기존 보통주의 주주에게 새로운 우선주를 발행하여 자금을 모집하는 방식입니다. 우선주는 일정한 이율의 배당을 받거나 우선적으로 자산 분배를 받을 수 있는 등의 혜택이 있습니다.
2. 주식권부사채: 이는 주식을 발행하지 않고 주식 구매 권리를 부여하는 채무증서로, 일정한 가격으로 주식을 살 수 있는 권리를 제공합니다. 보통 시장가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는 혜택이 있습니다.
3. 전환사채: 이는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채무증서로, 발행자는 향후 일정 조건이 충족될 경우 이를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4. 주식인수권부사채: 주식을 발행하지 않고 주식을 일정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는 권리를 주는 채무증서입니다. 이 역시 시장가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주식을 구매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