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세, 7세에게 엄마는 긍정적인 단어만 사용해야 하나요?
평상시에는 머릿속으로 제어가 돼서 늘 존댓말을 쓰고
언성도 안 높히고 조심하는데
부부가 사이가 안 좋으면 아이들한테 본의 아니게 영향이
가는 거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하지 말아야 할 행동 및 규칙을 알려주는 것은 단체생활에서 적응하는 능력을 길러주고 예의바르고 바른 인성을 함양하는 아이로 성장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단어만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면 "화가 난다고 다른 사람에게 욕을 하는 행동은 하면 안되는거야"와 같이 행동교정을 위해서는 안돼와 같은 부정적인 말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싸우거나부부간의문제로아이에게 감정을투사해버리면
아이는 화가나고기분이안좋으면 남에게화를내거나해도되는구나라고생각합니다
긍정적단어의사용보다중요한건 감정을 잘조절하는것일겁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부모의 언어와 행동을 답습하는 경향이 큽니다.
아이들 앞에서 긍정적인 모습을 자주 보여주는 것이
아이들의 심리안정은 물론 아이들의 성장에 있어 발달에도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를 양육하다보면 부정적인 단어를 사용하거나 화도낼수있습니다
이러한 일련적인 부분이 모두 아이에게 안좋은영향만주는것은 아니며
자주그러는것이 아니라면 크게걱정하지 않아도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부부가 감정적으로 아이를 대하게 되면 어느순간 습관이 되어 언성이 높아질수 있어요. 가급적 감정을 잘 컨트롤하시고 아이들에게 좋은 부모로서 긍정적인 단어를 해주는게 아이들의 정서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