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오늘배움
오늘배움

'무위(無爲)의 지혜'에 대해 알려주세요.

'무위(無爲)의 지혜'란 어떤 지혜를 말하는지

어떤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말인지도 알려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고매한크낙새25
      고매한크낙새25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무는 없을 무 위는 할 위 인데 인위적이다 할때 쓰는 한자입니다. 그래서 결국 무위는 인위적인게 없다는 말이고, 흔히 무위자연할때 많이 씁니다.

      그러니 인위적인거 없이 자연스럽게 자연스러운 일에 어떤 걸 가미하지 않고 그대로 받아들이는 지혜를 말하는데 되게 철학적인 것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자연의 섭리대로 흘러가는 걸 인정하고 존중하고 약간 득도한 그런 느낌이라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러니 어떤일이 잘 안풀린다고 해서 아둥바둥하지말고 자연스럽게 해결되도록 놔두거나 기다릴 수 있는 지혜라고 보면 될거 같습니다. 그리고 누가 강하게 의견을 피력해서 주장하고 서로 싸우는것 보다 상대방의 입장도 헤아릴 수 있는 것도 무위의 지혜를 갖춘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또 단기적으로는 힘들지만 장기적으로는 좋게 될수 있는 걸 알고 그걸 기다리면서 받아들이는 거도 무위의 지혜 중 하나일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무위의 반대 개념인 인위는 어떠한 의도나 욕심을 가지고 억지로 하는 것입니다. 집착하면 잃게 되고 삼가지 않으면 실패하게 된다고 합니다. 성인은 억지로 하지 않으니 패하지 않고, 집착하지 않으니 잃지 않고, 욕심이 없기를 바라고, 얻기 어려운 재화를 귀하게 여기지 않고, 잔기술을 배우려 하지 않는것 입니다. 만물이 스스로 그러한 것처럼 구태여 억지로 하지 않는 것이 무위입니다. 인위와 무위의 차이는 겉모습으로는 구별하기 어렵다. 스스로 돌아보아도 구별하기 쉽지 않습니다. 그 차이는 억지로 하느냐 기꺼이 하느냐와 욕심과 의도를 가지고 하느냐 자연스럽게 하느냐에 따라 다른 것 입니다. 그것은 자기 자신을 면면히 헤아리고 성찰할 때에 느낄 수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춘추시대의 사회적 혼란상을 극복하기 위해 나온 수많은 사상들을 제자백가 사상이라고 합니다. 제자백가 사상에는 공맹사상인 유가 노장사상인 도가 묵자의 묵가 한비자의 법가 명가 음양가 종횡가들이 있었습니다. 그중 노자와 장자의 사상인 도가사상의 핵심사상이 무위자연입니다. 인위적인 사회제도나 강제자체가 사회혼란의 원인이라고 보고 자연스러운 본성대로의 삶을 강조한 것입니다. 무위의 지혜는 바로 노자의 사상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무위지치 즉 다스림이 없는 다스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위적인 것에서 벗어나 자연스러운 본성대로의 삶에서 지혜를 찾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