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어쩌면혁신적인프레첼
어쩌면혁신적인프레첼

현재 우리나라 산업통상자원부가 하고 있는일을 자세히 알려주세요.

현재 우리나라 산업과 통상을 주도하는 부서가 산업통상자원부이잖아요. 근데 현재 우리나라의 산업 강화와 통상 강화를 위해 부서가 한 일이 뭐가있는지 자세히 좀 알려주실 수 있나요? 아주 자세히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신사업을 육성하는 역할을 하는데 예를들어 우리나라는 반도체나 조선 자동차 등 제조업을

      위주로 국가 기반산업이 꾸려져 있습니다

    • 그러나 앞으로는 제조업이 밀릴 수 있기 때문에 AI관련 산업이나 다른 지식집약적인 산업을

      육성하는 지원을 합니다

    • 또한 수출을 하는 기업의 지원이나 외국인으로부터 투자를 유치하여 연결을 해주는 등

      대외 협력에 있어 국가에 도움이 되는 것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대한민국 정부의 중앙행정기관으로 산업 발전, 무역 및 통상, 에너지 자원 관리를 총괄하는 핵심 부처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

    1. 첨단산업 육성과 혁신에 대한 지원

      • 반도체, 배터리, 수소차 등 미래 신산업 분야에 대한 예산을 투입하여 연구개발과 생산시설을 확충하였습니다.

    2. 중소기업과 벤처기업 지원을 강화

      • 스타트업과 벤처 기업에 대한 지원으로 샌드박스 운영 등 창업 인프라 지원하였습니다.

    3. 에너지 산업의 혁신과 안정적은 공급을 지원

      •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 설비를 확충하고 관련 인프라에 대한 구축을 지원

    나름 자세히 정리한다고 하였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산업통상자원부가 하는 일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반적으로 산업통상자원부는 상업, 무역, 공업, 통상, 외국인 투자, 산업기술 연구 및 개발,

    에너지, 지하자원 관리, 중견 기업 등 관리 하는 것이

    산업통상자원부가 하는 일입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상업 및 무역 통상 분야를 총괄하는 부서이며 점점 코로나 이후에 해당부처의 업무량이 가중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반도체의 공급망과 관련된 장비나 소재등이 중요해지면서 반도체·시스템반도체 등 핵심전략산업 집중 육성을 맡고 있습니다. 반도체 클러스터 인프라 부담 경감·R&D·세제우대 확대, 민관 협력체계 구축하였으며 핵심전략기술 지정·소부장 특별법 근거의 보조·융자·R&D·설비투자 지원을 하기도 했습니다.

    핵심품목에 대한 수입선 다변화, 대체기술개발을 유도하고 이에 대해서 지원도 해주고 정책을 만들었으며 또한 중소·중견기업 대상 수출바우처·해외마케팅·현지화 지원 사업, KOTRA·무역보험 등과 연계한 해외진출 지원을 집행하는게 산업통자원부의 역할입니다. 수소경제 로드맵이나 그린수소정책과 관련되어서 여러정책과 제도를 개선하엿으며 재생에너지 보급·전력망 개선, 탄소중립 산업전환을 위한 R&D 투자를 지원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기업의 투자·수출·설비 부담을 낮추기 위해 정책자금 지원이나 일종의 산업형펀드를 조성하는일도 도맡아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상업ㆍ무역ㆍ공업ㆍ통상, 통상교섭 및 통상교섭에 관한 총괄ㆍ조정, 외국인 투자, 중견기업, 산업기술 연구개발정책 및 에너지ㆍ지하자원에 관한 업무를 총괄하는 부서입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우리나라 산업 정책과 통상 전략을 총괄하는 부처로서 여러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산업 분야에서는 반도체나 배터리 같은 핵심 기술개발 과제에 연구개발 자금을 지원하고 기업과 간담회를 통해 현장의 애로를 파악하는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고 합니다. 통상 분야에서는 자유무역협정 대응과 주요 교역국과의 통상 리스크 관리에 집중하고 있으며 수출입 실적을 점검해 매달 무역 동향을 발표한다고 합니다. 또 에너지 부문에서는 해상풍력 경쟁입찰 제도를 도입하고 재생에너지 의무공급 고시 운영을 통해 친환경 에너지 전환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