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일본, 중국의 정원 문화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한국과 인접해 있는 일본과 중국의 전통 가옥을 보면 주거의 안에 정원이 조성되어있는데 성격이 조금씩 달라보입니다. 각 나라별로 정원문화가 어떻게 다른지, 정원의 특징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은 자연곡선을 도입해 해안풍경이나 심산유곡을 축소한 축경식 정원을 탄생시켰고 일본인이 만든 정원 속의 심산과 지당의 윤곽선은 모두 자연곡선으로 배식이나 배석도 자연스럽게 합니다.
지안도 해변의 풍경처럼 가장자리에서 안쪽으로 자연스럽게 변화합니다.
중국의 경우 직선과 곡선을 함께 이용한 회화풍의 정원으로 발전시켰고 산수의 자연경관을 본따 시작되었지만 청시대에 정착한 민간정원은 회화적인 구성으로 윤곽선은 자연곡선보다 자유곡선적인 처리를 하는데 이는 곡선의 흐름이 거칠지 않고 곱습니다.
한국의 경우 지당이나 화계 , 후원에서 보는 것처럼 중국이나 일본과 달리 다른 직선문화를 보이는데 조경재료의 배치는 자연스러우면서도 지당이나 화계, 화오 등의 공간처리에 있어 직선을 선호합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한국은 자연스러움, 일본은 균형 밸런스, 중국은 다양함 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인이적인 것보다 자연 그대로 경관을 살리고 계절에 따라 변화하는 활엽수로 자연 섭리를 따랐습니다. 일본은 완벽하게 비례해서 배치하고 구도를 잘 살렸습니다. 침엽수나 돌 등을 활용해서 단순화 했씁니다. 중국은 대체로 이것저것 감상용 물거을 많이 전시하고 그림도 많이 활용했습니다.
한국전통정권, 바로알고즐기 라는 기사나 각국 정원비교의 글들을 참고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국 정원의 가장 뚜렷한 특성)은 한국의 산고수려한 자연의 아름다운 환경을 존중하고, 비교적 인공을 겸양하면서 자연에 조화하도록 구성한데 있다.
(중국 원림의 특성)은 보통 산악, 호해, 계곡, 동굴, 폭포 등의 자연풍경을 모방하여 대자연의 축도를 조성하며, 어느 면으로는 불로장생의 선인의 거처와 같은 환경으로 만드는 것을 이상으로 삼았다.
(일본 정원의 특성)은 구성에 있어서 자연에 대한 선종적 해석을 바탕으로 하여, 자연의 인공적인 구성과 수목의 전지 및 인공적인 변형으로 형성된 아름다움을 강조하며, 따라서 작위적이고 인공적인 정원을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