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미술

행운의돼지
행운의돼지

유네스코에 등록된 금속활자본 직지심체요절의 내용은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2001년 유네스코 기록유산으로

등록된 세계최초 금속 활자본

직지심체요절 에

기록된 내용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나무777
      나무777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직지심체요절의 정확한 이름은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이다. 제목을 풀이하면 백운 화상(和尙, 스님의 경칭)이 추린(초록) 부처님(불조)의 뜻, 직지심체의 요약본(요절)이라는 뜻이다.

      책은 무심선(無心禪)이라는 특유의 선 수행법을 가르치고 있다. 이 방법은 무심무념으로 있으면서, 사람이 저마다 지니고 있는 깨달음(불성)이 자연스럽게 깨어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백운경한은 현대 한국 불교에서 주력으로 삼는 의심 기반의 간화선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무(無)’·‘만법귀일(萬法歸一)’·‘부모미생전본래면목(父母未生前本來面目)’ 등의 화두를 유용하다고 보았다. 그런데 마지막에는 화두마저도 버릴 것을 권하고 있다. 이는 당나라 시대의 선풍을 되돌리기 위한 백운의 노력이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출처 : https://namu.wiki/w/%EC%A7%81%EC%A7%80%EC%8B%AC%EC%B2%B4%EC%9A%94%EC%A0%88#rfn-2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직지심체요절은 무심선이라는 특유의 수행법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무심선이라는 것은 무심무념으로 있으면서 사람이 저마다 지니고 있는 깨달음이 자연스럽게 깨어나도록 유도하는 내용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직지심체요절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중심 주제인 직지심체(直指心體)는 ‘직지인심견성성불(直指人心見性成佛)’이라는 오도(悟道)의 명구에서 따온 것이다. 그 뜻은 사람이 마음을 바르게 가졌을 때 그 심성이 곧 부처의 마음임을 깨닫게 된다는 뜻이다. 사람의 본성은 그 자체가 본시 청정하므로 선지식(善知識)의 도움에 의하여 자기 마음 속에서 그 심성이 자정(自淨)함을 깨닫고 늘 자수(自修)·자행(自行)하면 곧 불성(佛性)을 체득하여 자기 자신이 바로 법규(法身)이 되며, 자기 마음이 바로 불심이 된다는 요지이다.

      출처: 위키백과 직지심체요절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직지」의 중심 주제는 <직지심체>로 <직지인심 견성성불(直指人心 見性成佛)>이라는 선종의 불도를 깨닫는 명구(名句)에서 비롯된 것으로 "참선을 통하여 사람의 마음을 바르게 볼 때, 그 마음의 본성이 곧 부처님의 마음임을 깨닫게 된다"는 뜻이다.

    •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불조직지심체요절'의 직지심체는 '직지인심 견성성불'이라는 수신 오도의 명귀에서 채록한 것으로 '참선하여 사람의 마음을 직시하면, 그 심성이곧 부처님의 마음임을 깨닫게 된다는 것이라고 합니다. 사람의 본성은 그 자체가 본시 청정하므로 선지식의 도움에 의하여 자기 마음속에서 그 심성이 자정함을 깨닫고 늘 자수, 자행 하면 곧 불성을 체득하여 자기 자신이 바로 법신이 되며 자기 마음이 바로 불심이 된다는 요지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 승려 경한이 선의 요체를 깨닫는데 필요한 내용을 뽑아 엮은 책으로 상하 2권으로 되어있고, 내용은 경덕전등록, 선문염송 등의 사전 관계 문헌을 섭렵해 역대의 여러 부처를 비롯한 조사와 고승들의 게, 송, 찬, 명, 서, 시, 법어, 설법 등에서 선의 요체를 깨닫는데 긴요한 것을 초록해서 편찬했습니다.

      중심 주제인 직지심체는 직지인심견성성불이라는 오도의 명구에서 따왔고 그 뜻은 사람이 마음을 바르게 가졌을 때 그 심성이 곧 부처의 마음임을 깨닫게 된다는 뜻으로 사람의 본성은 그 자체가 본시 청정하므로 선지식의 도움에 의해 자기 마음속에서 그 심성이 자정함을 깨닫고 늘 자수, 자행하면 곧 불성을 체득하여 자기 자신이 바로 법규가 되며 자기 마음이 바로 불심이 된다는 요지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목을 풀이하면 백운 화상(和尙, 스님의 경칭)이 추린(초록) 부처님(불조)의 뜻, 직지심체의 요약본(요절)이라는 뜻이다

      고려 시대의 승려인 백운화상이 고려 공민왕 21년에 부처님과 큰 스님들의 가르침과 대화, 편지 등에서 중요한 내용을 뽑아 편찬한 책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