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B NICE신용점수가 굳이 2개가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그리고 NICE신용점수가 왜 높게 나오는지도 궁금합니다. 일반적인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지, 뭔가 KCB점수에 민감한 부분을 관리를 잘못해서 그런건지 잘모르겠습니다.
또한 대부분의 비상금이나 마이너스통장 등 시장상품들은 KCB점수만 참고하는 듯한데, 굳이 NICE점수를 왜 같이 표기하는지도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KCB랑 NICE는 서로 다른 신용평가사라서 점수 산출 기준이나 모델 자체가 달라요. 그래서 두 군데 점수가 따로 나오는 거고, 같은 사람이라도 점수 차이 꽤 나는 경우 많습니다. NICE점수가 좀 높게 나오는 건 평가 방식에서 연체 이력이나 대출 사용 패턴을 KCB보다 다르게 반영하는 영향 때문일 수 있습니다. 시장상품에서 KCB 위주로 본다고 해도 NICE점수 같이 표기하는 건 참고용으로 보여주는 거지, 실제 심사는 KCB만 보는 경우 많습니다. 신용점수에 민감한 부분은 연체 기록, 카드 사용 패턴 등인데 이거 관리 잘못하면 둘 다 영향받을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신용평가기관 중 신용도가 높은 기관이 2곳이라서 각기 다른 방식으로 점수를 매기고 이를 금융기관에서 활용하는 것입니다. 만약 다른 평가기관도 높은 신뢰도를 가진다면 은행에서 다른 곳의 신용평가점수를 활용할 것입니다.
또한, NICE와 KCB는 다른 비중으로 평가를 하기 때문에 점수차이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금융기관 별로 비상금대출과 마이너스통장 대출에 대해 다른 평가기관의 점수를 활용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KCB와 NICE는 우리나라의 신용평가기관입니다. 각각의 기관에서 서로 다른 기준을 가지고 평가되고 있습니다.
금융기관에서는 이 두 신용평가기관의 점수를 감안해 대출을 해주고 있습니다.
신용평가 기관이 대표적으로 두개가 있어 두개의 신용점수가 산정되는 것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그 이유는 두 기관은 모두 국가기관이 아닌 사기업입니다
그렇기에 서로 경쟁을 통해서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책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런 방식으로 공정한 신용점수가 나오려면 두 개의 신용점수 측정기관이 존재해야 하고
이 둘은 서로 신용점수를 측정하는 방식이 상이하기에 점수도 달라지게 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의 신용평가기관은 민간기업이지 공기업이 아닙니다. 그리고 대표적으로 글로벌 신용평가사라고 한다면 무디스 피치 S&P이며 이들은 주식시장에도 상장되어있는 민간기업입니다.
즉 국내의 수많은 금융기관이나 사업을 보면 공기업구조가 아니라면 민간기업형태이며 이들은 서로 경쟁모델로 되어있습니다 즉 국내의 신용평가기관도 서로의 이익을 위해서 경쟁을 하기위해서 두군데가 있는것이지 공기업형태로 2개가 있는게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신용평가사가 두 곳이 있어야 하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한 곳에서만 신용평가를 한다면
내 신용을 보다 더 입체적으로 그리고 객관적으로 평가 받기 힘들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기에 복수의 신용평가사가 신용점수를 내면서 내 개인의 신용도
평가에 대한 신뢰도와 객관성 등이 더 확보될 수 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