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즐거운천인조239
즐거운천인조23924.01.15

사각형의 행성은 존재할수가 없을까요?

보통 행성들을 보면 전부 원형~타원형인거 같던데

왜 사각형 모양의 행성은 존재할 수 없는것인지가 궁금합니다.

왜 동그란 행성만이 존재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보통 행성들은 원형 또는 타원형 모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중력에 의해 형성되는 자연적인 형태이기 때문입니다. 중력은 모든 물체를 중심으로 모아지는 힘으로 이는 물체의 질량과 거리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행성들은 중력에 의해 둥글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사각형 모양의 행성이 존재할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 사실 사각형 모양의 행성은 우주에서 발견된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행성들은 매우 특이한 조건에서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를 들어 행성이 아닌 다른 물체와의 충돌로 인해 형성된 것일 수도 있습니다. 이는 중력에 의해 둥글게 형성되는 것이 가장 안정적인 형태이기 때문입니다. 중력은 물체의 질량과 거리에 따라 결정되는데 물체가 둥글게 형성될수록 중심으로 모이는 힘이 균일하게 분포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동그란 형태가 가장 안정적인 형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중력에 의해 둥글게 형성되는 것이 가장 안정적이기 때문에 동그란 행성들이 우주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행성이 원형인 이유는 중력 때문입니다. 행성은 중심에 있는 별의 중력에 의해 서로 끌어당겨지면서 뭉치게 됩니다. 이때, 중력은 모든 방향에서 동일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행성은 가장 안정적인 형태인 구형을 이루게 됩니다.

    사각형 모양의 행성이 존재하지 않는 이유는 중력의 불균형 때문입니다. 사각형 모양의 행성은 모서리 부분에 중력이 집중될 것입니다. 이로 인해 모서리 부분이 볼록하게 튀어나오면서 원형에 가까운 형태로 변하게 됩니다. 따라서, 사각형 모양의 행성은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행성은 중력의 작용으로 인해 원형이나 타원형과 같은 구형에 가까운 형태를 이루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대부분 행성이나 항성들은 초기에 물질들이 뭉치면서 매우 뜨거운 액체상태나 기체상태를 유지하기에, 중력을 가장 효율적으로 받을 수 있는 구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물론 차갑게 식은 뒤 이리저리 부숴저 우연히도 사각이나 정육면체 형태가 될 수 있기는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