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대장암 확률이 많이 높나요?.?
저희 가족이 워낙 식습관이 안좋기도 하고 어렸을때 안 좋은 편의점 음식을 많이 먹었어요
그래서 그런지 유독 위와 장이 약합니다.. 수험생활로 스트레스 많이 받기도 해서 위염과 과민성 대장 증후군인 줄 알았는데 2년내내 늘 속쓰림, 가스, 잔변감, 변 보면 기름, 카페인 마시면 바로 극성 복통과 설사를 하고있습니다 수능도 거의 장때문에 망친거라 봐도 무방한데 대장암 걸리지는 않겠죠.,.. 현재 재수 중이라 병원 가기 어려운데 이거 때문에 불안장애까지 생기고 너무 힘듭니다
안녕하세요. 박성민 의사입니다. 질문자분께서 많이 불안해하시는 것 같습니다. 20대의 경우 대장암이 발생하는 확률은 상대적으로 낮아요. 가족력이 있거나 아주 특정한 유전적 요인이 있지 않다면, 젊은 층에서 대장암이 진단되는 경우는 드물답니다. 말씀하신 증상들, 즉 위장 문제, 속쓰림, 잦은 가스, 복통 등은 과민성 대장 증후군이나 스트레스와 연관된 소화기 계통의 문제일 가능성이 높아요. 수험생활의 스트레스로 인해 생리적 기능이 더 불안정해질 수 있고, 이것이 소화기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죠. 이러한 증상은 흔하지만 일상생활에 크게 영향을 주고 있는 것 같네요. 당장은 식습관을 조금씩 개선하고 규칙적인 생활 패턴을 유지해 보는 것이 좋겠어요. 꾸준히 균형 잡힌 식사를 하려고 노력하고, 카페인이나 기름진 음식을 피하면 증상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어요. 불안장애로 인한 심리적 부담이 크다면 정신적으로 안정을 찾을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시는 것을 권해드려요. 기회가 된다면, 상황이 좀 나아졌을 때 꼭 병원을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겠습니다. 무리하지 않고 건강에 더 신경 쓰시는 게 좋을 듯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20대의 경우 대장암 발생 확률은 약 0.1% 미만으로 추정되나 대장암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발생 확률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이상 체중 감소, 가는 변, 잔변감 등 이상 증상이 동반 시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아 볼 것을 권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20대의 경우 대장암이 발생할 확률은 상대적으로 낮지만, 가족력이나 생활습관에 따라 그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특히 식습관이 불규칙하거나 불균형한 경우, 소화기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질문자분이 겪고 있는 위장 문제는 식습관과 스트레스가 큰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빈번한 속쓰림, 가스, 잔변감 및 설사 등의 증상은 과민성 대장 증후군이나 소화기관의 다른 질환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장에 부담을 주는 카페인이나 기름진 음식을 섭취하면 증상이 더욱 악화될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적절한 관리를 통해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입니다. 재수 중이라 병원에 가기 어렵다고 하셨지만,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된다면 시간을 내서 병원에 방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적절한 검사와 진단을 통해 불필요한 걱정을 덜고 보다 나은 방향으로 건강을 관리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불안장애가 발생했다면 정신적인 부분에서도 케어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 관리와 더불어 일상에서의 충분한 휴식 및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대장암의 확률은 20대에는 매우 낮습니다. 대장암은 주로 50대 이상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젊은 사람들에게는 드문 질환입니다. 물론, 가족력이나 식습관, 생활 습관 등이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20대에서 대장암이 발생할 가능성은 적어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염이나 과민성 대장 증후군과 비슷한 증상을 경험하고 있다면, 다른 원인도 있을 수 있죠
속쓰림, 가스, 잔변감, 기름진 변, 복통, 설사 등은 과민성 대장 증후군(IBS)과 관련된 증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IBS는 스트레스, 불규칙한 식습관, 소화 불량 등의 여러 요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지금 겪고 있는 증상과 일치할 수 있어요. 이 경우, 대장암이 아니라 과민성 대장 증후군일 가능성이 크고, 이는 치료와 관리가 가능합니다. 병원에 가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규칙적인 식사와 충분한 수분 섭취를 신경 쓰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을 듯 해요
불안증상이 있다면 정신과 의사와 상담하여 불안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을 찾는 것도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