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가 다소 내리곤 했지만 간만에 자전거 하이킹을 했습니다.
동호회에서 안 나오면 짜른다는 소리에 비가 옴에도 불구하고 가까운 자전거 하이킹을 한다는 소리에
거의 몇달만에 참석을 하여 출발 전 회의를 하는데..
그새 신입 회원들이 몇명 들어와서 반갑게 인사를 하고..간단히 요기후 출발하려고 하는데..
두분이 무 체인자전거를 가지고 오셨더라구요..신기하기도 하고 궁금하기도해서..
몇바퀴 타보니 일반 자전거대비 다소 무겁다는 느낌은 있었지만 체인자전거의 비해 가속력이나 힘이 느껴지더라구요..
체인없이 자전거가 움직이는 것이 너무 궁금하네요...페달을 밟으면 어떤 원리로 바퀴가 돌아가는지요?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체인 없는 자전거의 경우, 벨트 드라이브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이 시스템은 일반적인 체인과 마찬가지로 크랭크와 휠 사이에 토크를 전달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체인 대신 벨트를 사용합니다. 벨트는 체인에 비해 효율적이며, 유지보수가 적게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체인 자전거는 체인으로 움직이는 자전거와 달리 체인이 없고 이 체인부분은 트랜스 미션이란 부분이 대체합니다.
변속기로 인한 고장이나 체인으로 인한 문제가 없이 자전거를 즐길수 있는것이 특징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무체인 변속자전거는 자전거 페달과 바퀴를 체인으로 연결하는 대신 자동차 엔진의 힘을 바퀴에 전달해주는 샤프트를 사용한 자전거입니다. 페달을 밟으면 비스듬히 맞물려 있는 기어를 통해 샤프트에 힘이 전달되고 다시 뒷바퀴의 기어를 돌려 바퀴가 돌아가는 원리입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자전거는 사람이 두 발로 페달을 교대로 밟아 체인으로 바퀴를 돌리게 되어 있습니다.
페달을 밟으면 체인휠 중 한 개의 스프라켓이 회전하고, 체인휠 주위를 감싸고 있는 체인은 뒷바퀴의 작은 스프라켓과 연결되어 있어 뒷바퀴를 구동하는 것입니다.
체인없는 자전거는 몸체 내부에 들어간 '드라이브 샤프트'나 '베벨기어'가 체인의 역할을 대신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페달과 연결된 자전거체인과 기어를통해 사람의 힘이 바퀴로 전달되고, 사람이 내는 회전력이 바퀴에 발생하며 전진력이 만들어집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체인없는 자전거의 경우 체인 대신 드라이버 샤프트가 들어가게됩니다.
바로 이것으로 인해 자전거가 구동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