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청렴한치타291
청렴한치타291

극지방에서는 아주 멀리서도 소리가 잘 들리는 이유?

극지방을 가볼 수 있는 여건이 되는 사람이

얼마나 될 지 알 수 없기에

실험 자체를 못해보는게 아쉽습니다만

극지방에서는 아주 멀리서도 소리를 지르면 엄청 잘 들린다하는데요

이게 산 지형에서처럼

메아리 원리가 되는 것은 아니겠고

확성기 원리가 되는 것도 아닌데

어떤 원리로

극지방에서는 아주멀리에서도 소리가 잘 들린다고 하는 건가요?

어떤 과학적 원리가 적용된 것인지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극지방에선 소리가 훨씬 멀리 전달되게 되는데 이는 차가운 공기의 특징도 같이 생각해보시면 될것같아요! 차가운 공기는 밀도가 증가하게 되고 소리의 전파 속도가 감소하게 되지요. 소리는 매질을 통해 전파되는 압력파인데 극지방은 기온이 매우 낮기에 공기의 밀도가 일반적인 우리 지역의 환경보다 더 높게 됩니다. 공기의 밀도가 높아지면 소리의 에너지 손실이 적어지게 되고 흡수가 감소하면서 소리가 더 멀리까지 퍼질수 있게 됩니다. ㅊㅏ가운 공기는 더 조밀한 매질 역할을 하여 소리가 더효율적으로 전달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것이지요! 또한 극지방에선 지표면이 매우 차갑고, 위쪽 공기가 상대적으로 따뜻한 경우가 많기에 온도 역전현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고도가 높을수록 기온은 낮아지게 되지만 극지방의 경우 지표면이 너무 차갑고 위쪽 공기가 상대적으로 따뜻하게 되면서 소리가 위쪽으로 퍼지다가 따뜻한 공기층에서 반사되며 지표면으로 내려오게 되면서 소리가 공기중에서 멀리까지 전달되는 반사 효과가 나타는것이죠 탱탱볼처럼 팅겨나가는 형태로 보셔도 될것같아요! 또한 극지방은 건조한 환경으로서 수증기의 양이 매우 적고 소리는 수증기에 의해 흡수되는 성질을 가지는데 극지방에선 습도가 낮아 소리의 약화가 ㅈ거어지게 되어 소리가 줄어들지 않고 멀리까지 퍼지기도 합니다! 무엇보다 극지방은 평탄한 지역이 많기에 나무나 건물같은 장애물이 없어 소리가 방해ㅈ받지 않고 멀리 나아갈수 있게 되는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