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아프로아프로
아프로아프로

조선 말기에 쇄국정책을 펼친 이유는 무엇인가요?

조선 말기에 외세에 조선의 문호를 개방하지 않은 것을

쇄국정책으로 알고 있는데 이런 정책을 펼친 배경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흥선대원군이 쇄국정책, 즉 통상수교거부정책을 추진한 이유는 서양 열강들이 아시아 지역을 방문하면서 통상을 요구하면서 불평등 조약을 강요했습니다. 그리고 결국 식민지화를 추진하고 있었습니다. 이에 흥선대원군은 이러한 외세의 침략을 막기 위해 조선의 문호를 폐쇄한 것입니다.

    또한 흥선대원군은 조선의 전통과 유교 질서를 지키기 위해 천주교를 탄압하고 거부하였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

    조선은 유교 성리학적 통치 이념에 의해 다스려진 국가입니다.

    때문에 중국의 천하관을 그대로 따르고 있는데 중국의 동서남북은 '사이'라고 해서 오랑캐이며 교화의 대상입니다.

    즉, 발전된 서양 문물을 가지고 들어왔다고 해도 조선의 입장에서는 서양 오랑캐에 불과했던 것이지요.

    게다가 서양의 문물과 함께 들어온 천주교는 부모의 제사도 모시지 않고 주 그리스도만을 섬기기 때문에 조상에 대한 예를 중시하고 봉건왕조였던 조선으로서는 용납할 수 없었지요. 그래서 일본이고 중국이고 한국이고 동아시아 문화권에서는 천주교는 크게 한번씩은 박해를 받았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흥선대원군이 집권하던 기간 중에는 신미양요와 병인양요가 있었죠. 그 두 차례의 전쟁으로 너무나 큰 피해를 입었기 때문이고요, 가장 큰 이유는 오페르트 라는 상인이 흥선군의 아버지 남연군의 묘를 도굴했기 때문입니다(오페르트 도굴 사건). 쇄국정책으로는 척화비를 세웠고요, 외국과의 통상을 금지하였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당시 집권했던 사람은 흥선대원군 이하응(대원의)인데, 개항되어 뭔가 외세, 문물이 들어오면 자기 자신의 기득권이 위험해 질 수도 있다고 판단한 결과로 쇄국정책을 강하게 펼쳤다고 볼 수 있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