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한국은행은 역대 기록이라는 13회 연속 기준 금리 동결을 선택했나요?
이번에 한국은행에서 기준금리를 다시 3.5%로 동결 결정을 했다고 합니다.
왜 한국은행은 무려 13회 연속으로 기준금리를 올리지도
그리고 내리지도 못하고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한국은행이 13회 연속으로 기준 금리를 동결한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는 현재 물가 상승률도 원만하게 둔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수도권 주택 가격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서
가계부채가 급속도로 오르는 등의 영향으로 긴축 기조를 유지하고자 했다는 것입니다.
한국은행은 오늘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최근 집값과 가계대출이 상승하는 가운데 미국보다 선제적으로 기준금리까지 낮추면 자칫 부동산·금융시장 불안의 부작용이 커질 수 있다는 판단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에서는 아무래도
현재 미국과의 금리격차와 더불어서
서울 부동산을 중심으로 다시 상승 가능성이 보이는 등
이에 따른 가계부채와 집값 상승 등의 문제로 인하여
금리를 이번에 동결 결정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사실상 물가 수준만 본다면 금리를 인하할 수도 있지만, 금리를 섣부르게 인하할 경우 환율 불안정성의 확대, 부동산 시장 불확실성 확대 등 다른 이슈로 인해 동결한 것이 됩니다. 미리 금리를 더 올려서 빠르게 물가 잡고 내렸어야 맞습니다.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 상승 압력이 여전하지만 경기 둔화 우려도 커서 금리 인상과 인하 모두 부담스러운 상황입니다. 그리고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의 통화 정책 변화, 국제 유가 변동 등 대외 불확실성이 커져 신중한 자세를 취하고 있습니다. 즉, 한국은행은 물가 안정과 경기 부양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신중하게 통화 정책을 운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미국의 금리 변동이 일어나면 바로 대응을 할것으로 사료됩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오늘 기준금리 동결은 금융통화위원 만장일치였지만 포워드 가이던스에서는 4명의 위원이 기준금리 인하 의견을 냈습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11월 25비피 기준금리 인하가 유력해진 상황입니다
이번 동결은 물가만 봤을때는 인하 여건이 조성되었지만 경기 부진이라고 평가하기는 어렵다는 이유로 동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