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건강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건강상담
단닝닝
단닝닝23.11.26

비염 진단 시 만성 비염을 판단하는 근거기 궁금해요

나이
26
성별
여성

비염이 너무 심해서 이비인후과에 갔었는데 알레르기 검사를 해보시더니 알레르기 반응을 크게 나타내는 게 없다며 만성 비염 판정을 해주셨어요.

비염은 알레르기가 아니면 다 만성비염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비염은 임상적인 양상에 따라 주로 급성 비염, 만성 비염, 그리고 위축성 비염으로 분류됩니다. 급성 비염은 흔히 알려진 감기로 발생하는 감염성 비염을 의미하며, 만성 비염은 다시 감염성과 비감염성으로 구분됩니다. 비감염성 만성 비염의 원인으로는 알레르기 비염, 비강 구조의 해부학적 이상, 자율신경계의 불균형, 호르몬 이상, 약물 복용, 정서적 스트레스 등이 있습니다. 만성과 급성을 나누는 정확한 근거는 없으며 질환의 이환기간과 구조적인 이상이 동반되는지 여부, 감염성이 아닌지 등에 대해 종합적으로 판단합니다.

    만성 비염은 종종 급성 비염의 치료가 불완전하게 이루어지거나 반복 발생하는 경우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부비동염이나 편도 조직의 만성적인 염증이 비염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전신적인 영양상태나 면역 기능이 저하된 경우에도 비염이 잘 치유되지 않고 만성 비염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추가적 질문이 있으시다면 댓글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만성비염은 질병을 앓은 기간에 의해서 결정됩니다.

    급성과 만성의 기준은 대부분 1~2개월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이호 의사입니다.

    비염은 크게 알레르기 비염비감염성 비염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알레르기 비염은 알레르기 항원에 대한 과민 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염입니다. 알레르기 항원으로는 꽃가루, 집먼지진드기, 동물의 털, 곰팡이 등이 있습니다. 알레르기 비염은 콧물, 재채기, 코막힘, 눈 가려움증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 비감염성 비염은 알레르기가 아닌 다른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염입니다. 비감염성 비염의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비강 내 구조의 이상

      • 호르몬 변화

      • 약물 부작용

      • 스트레스

      • 환경 오염

      • 흡연

      • 과도한 음주

    귀하의 경우, 알레르기 검사에서 알레르기 반응이 크게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에 비감염성 비염으로 진단받은 것으로 보입니다. 비감염성 비염은 알레르기 비염에 비해 치료가 어렵고, 재발이 잦은 경우가 있습니다.

    만성 비염은 비염 증상이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따라서, 귀하의 경우에도 비염 증상이 3개월 이상 지속되고 있다면 만성 비염으로 진단받을 수 있습니다.

    만성 비염의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비강 내 구조의 이상이 있는 경우, 수술을 통해 치료할 수 있습니다. 호르몬 변화나 약물 부작용으로 인한 비염인 경우, 원인 물질을 제거하거나, 약물 복용을 중단하면 증상이 호전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나 환경 오염, 흡연, 과도한 음주로 인한 비염인 경우, 생활 습관을 개선하면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만성 비염이 의심되는 경우, 병원을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