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

식물 중에서 광합성을 하지 않는 식물도 있나요?

식물은 태양빛을 양분으로 만드는 광합성 작용을 합니다. 그런데 식물 중에서 광합성을 하지 않고 다른 방식으로 양분을 만드는 식물도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광합성을 하지 않는 식물들도 존재합니다. 기생식물이나 부생식물은 광합성을 안 하고도 다른 방법(사체, 배설물 등)을 통해 성장을 합니다. 감사합니다.

  • 대부분의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영양을 얻어 생존하는 반면, 균류와 공생 관계를 이루거나 혹은 다른 식물에 기생하여 필요한 영양소를 얻는 식물들도 있습니다. 곤충과 같은 작은 동물들을 포획하여 영양분을 얻는 육식식물도 있습니다.

  • 다른 식물에 기생해서 사는 기생식물의 경우 광합성을 하지 않고 에너지대사를 합니다. 석장, 구상난풀, 수정란풀, 무엽난초의 식물이 대표적입니다.

  • 주로 다른식물들의 영양분을 흡수하는 기생생물들이나, 균을 뿌리에두고 탄소를 제공함으로써 영양분을 공급받는 부생식물등이 존재합니다,

    이와같은 식물들은 광합성을 하지않아도 양분과 수분을 공급받아 살아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생명과학전문가 이상현입니다.

    대표적으로 기생식물이나 부생식물등이 존재합니다.

    기생식물은 말그대로 다른식물의 양분을 빨아먹는형태로 살아가고, 부생식물들은 균과 공생을통해 대신 양분을 합성하도록 만듭니다.

  • 대부분의 식물은 정도에따라 다르지만 세포내에 엽록체가 있다면 광합성을 합니다.

    하지만 기생하여 살아가는 식물이나 빛이 굉장히 부족한 환경의 식물은 광합성에 의존하여 생존에 필요한 영양분(주로 포도당)을 얻는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광합성과 다른 방식으로 에너지를 획득합니다.

    기생식물은 다른 식물에 흡착여 숙주가 광합성으로 만든 양분을 빼앗아가는 방식으로 에너지를 획득합니다.

    (일부 광합성을 병행하는 기생식물도 존재)

    빛이 매우 부족한 그늘에서 서식하는 식물들 중 광합성을 하지않고 균류와 공생하여 에너지를 획득하는 식물들이 존재합니다.

  • 대부분의 식물은 엽록체를 가지기 때문에 광합성을 수행하여 스스로 양분을 합성할 수 있지만, 엽록체를 가지지 않는 식물은 양분을 얻기 위해 다른 방식을 사용합니다. 스스로 양분을 합성하지 못하는 만큼 변형된 뿌리를 이용하여 다른 식물로부터 양분을 빨아들이는 새삼과 같은 기생식물이 존재합니다. 이외에도 각종 동식물의 사체나 배설물로부터 영양분을 얻어 성장하는 식물도 있는데 이를 부생식물이라고 하며 대부분 깊은 숲 속, 음지의 낙엽 근처에서 발견됩니다. 수정난풀이 대표적인 부생식물입니다.

  • 광합성을 하지 않는 식물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디언 선인장과 같은 일부 선인장 종은 광합성을 하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생존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