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살짝개성있는데이지
살짝개성있는데이지

현대자동차 차체부문과 설비관리부문의 차이점이 뭐에요?

둘다 용접 로봇과 관련돼 있는 것 같은데 로봇 티칭과 프로그램 수정은 어느 부서에서 하는지 궁금합니다. 지인이 현대자동차 울산신공장의 스마트팩토리를 운영하는 일을 하고 싶어하는데 제게 질문했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

    현대자동차에서 차체부문은 주로 자동차의 차체를 조립하고 용접하는 작업을 담당합니다. 이는 자동차의 구조적 부분을 완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므로, 이 부서에서는 용접 로봇의 운영과 관련된 작업이 많습니다. 반면, 설비관리부문은 생산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비를 유지보수하고 개선하는 역할을 맡고 있으며, 로봇이 포함된 전반적인 설비의 안정성을 관리합니다. 로봇 티칭과 프로그램 수정은 일반적으로 설비관리부문에서 주로 수행됩니다. 이는 로봇의 동작을 세부적으로 조정하고 최적화하는 과정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구체적인 역할은 각 공장의 운영 방식과 부서의 협조 시스템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질문자님의 지인이 스마트팩토리 운영에 관심이 있다면, 설비관리부문에서의 경험이 특히 유익할 수 있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현대자동차에서 차체부문과 설비관리부문은 각각의 역할과 책임이 조금 다릅니다. 차체부문은 주로 자동차의 뼈대를 만드는 역할을 담당하며, 용접 로봇을 활용하여 차체를 조립하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반면, 설비관리부문은 이러한 생산 설비, 특히 로봇과 같은 자동화 장비의 유지보수와 최적화를 담당합니다. 로봇 티칭과 프로그램 수정은 주로 설비관리부문에서 처리하지만, 차체부문과 긴밀히 협력하여 생산 라인의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 따라서 스마트팩토리 운영을 목표로 한다면, 설비관리부문에서의 경험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현대자동차의 차체부문은 자동차 차체의 설계,생산,조립을 담당하며 설비관리부문은 생산 설비의 유지보수와 관리를 담당합니다. 로봇 티칭과 프로그램 수정은 일반적으로 설비관리부문에서 수행합니다.

    스마트팩토리 운영 업무는 설비관리부문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므로 지인분께서는 해당 부서에서의 역할을 고려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현대자동차 차체부문은 말그대로 차량의 바디를 만드는 부서를 의미합니다. 설비관리부문은 공장의 설비를 유지보수 관리하는 부문을 의미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현대자동차 차체부문은 주로 차량 차체의 설계, 제작, 품질 관리와 같은 작업을 담당하며 용접 로봇을 활용한 차체 조립 공정을 관리합니다. 반면 설비관리부문은 공장의 설비 특히 용접 로봇을 포함한 자동화 장비의 유지보수 최적화, 문제 해결을 중점으로 합니다. 로봇 티칭과 프로그램 수정은 주로 설비관리부서의 역할로 스마트팩토리 운영에서는 로봇의 효율적 활용과 유지보수 능력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화 전문가입니다.

    차체부문은 주로 차량의 구조와 외형을 만드는 작업을 담당합니다. 설비 관리 부문의 생산 설비와 로봇의 유지보수 및 효율성을 관리합니다. 로봇 티칭과 프로그램 수정은 주로 설비 관리 부문에서 이루어지며, 스마트팩토리 시스템 최적화를 담당합니다.

  • 안녕하세요.

    차체 부문은 차의 외형과 구조를 만드는 데 집중하고, 설비 관리 부문은 생산 설비와 로봇이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관리합니다. 로봇 티칭과 프로그램 수정은 설비관리부문에서 주로 담당하고, 스마트팩토리 시스템 등을 최적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순혁 전문가입니다.

    현대자동차 차체부문은 차량의 외부 자체와 관련된 생산 공정, 특히 용접 작업을 담당하며 설비관리부문은 공장 내의 설비 유지보수 및 관리, 개선 작업을 담당합니다.

    용접 로봇 관련 작업은 주로 차체 부문에서 이루어지며 말씀하신 로봇 티칭, 프로그램 수정은 제조 로봇 자동치팅 기술 개발 업무를 수행하는 팀이 따로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아래 공고를 보시면 플랜트기술 직무에 "로봇 티칭 기술 개발 업무" 가 명시되어 있습니다.

    https://www.catch.co.kr/NCS/RecruitInfoDetails/422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