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젊은몽구스151
젊은몽구스151

사람들은밤에잠을자다왜 생생학 꿈을꿀까요?

사람들은 밤에잠을자다가 꿈을꾸곤합니다

기분좋은꿈도꾸고 길몽 안좋은꿈도꾸고 흉몽

그런꿈은 왜 꿀까요

기분좋고좋은꿈을꾸면좋지만흉몽을꾸고나면 하루가 기분이좋지 않습니다

왜꿈을꾸는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뇌는 잠을 자는 상태에서도 일부 깨어 있습니다. 하여 뇌는 깨어 있을때 입력되어 있는 기억과 정보를 무작위로 되살리고 작동하게 됩니다. 즉 꿈은 무의식상태에서 무작위로 뇌가 일으키는 심상 즉 ,자극없이 마음속에 떠오르는 영상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신체의 근육긴장도도 매우 낮아져 거의 마비상태에서 뇌는 거대한 방전에 의해 자발적으로 작동하는데

      이런 렘 수면 동안 꿈을 꾸게 됩니다.

      꿈을 안 꾼다는 사람조차 이때 깨우면 꿈을 이야기 할 수 있다.

      수면 자체는 낮동안 활동한 신체, 특히 뇌를 회복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 과학적 측면에서 수면은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는데요, 바로 렘 수면과, 비 렘수면입니다.

      렘 수면은(Rapid Eye Movement sleep) 영어 해석 그대로 안구의 움직임이 빠르게 일어나는 상태입니다. 흔히 얕은 잠의 단계라고 말하며, 수면 중 뇌가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는 시기로, 우리는 이 상태에서 꿈을 꾸게 됩니다!

      비 렘수면은(Non - Rapid Eye Movement sleep) 안구의 움직임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심박수와 호흡이 감소하며 근육이 이완되고 뇌가 휴식을 취하는 깊은 잠의 단계입니다.

      렘수면은 뇌가 활발히 움직이면서 기억을 정리하고 스트레스를 완하 하는 시간입니다. 컴퓨터 조각모음을 하듯이 뇌를 최적화하기 위해 스스로 정리를 하는 시간이죠. 이때 신경세포들이 서로 자극을 주고받으면서 시뮬레이션을 돌린다고 합니다. 여러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뇌를 가장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죠. 이렇게 뇌가 하루를 정리하고 시뮬레이션을 돌리는 과정 속에서 다양한 자극을 보내게 되고, 이런 자극 신호들을 우리가 꿈이라고 느끼는 것입니다. 사람의 대부분은 일상생활에서 인상 깊게 보았던 것이나 평소에 생각하던 것이 꿈으로 나타난다고 합니다. 그것은 잠을 자는 동안 뇌에서 오늘의 일상을 정리하고 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꿈을 꾸는 이유는 우리의 뇌는 잘 때에도 홛동을 하기 때문입니다. 보통 잠을 자게 되면 뇌, 근육, 몸의 휴식입니다. 그런데, 잠을 자는 내내 뇌가 휴식을 취하는 것은 아닙니다. 뇌는 깨어있을 때보다 덜 활발하지 않지만 우리가 잠을 잘 때에도 활동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활동이 무의식이나 생각, 상상으로 이어지면서 꿈을 꾸게 되는 것이죠. 또한, 잠을 잘 때 얕은 수면과 깊은 수면을 주기적으로 반복하면서 자게 되는데, 얕은 수면을 잘 때 꿈의 내용이 생생히 기억나는 것입니다. 꿈의 내용에 대해서는 흉몽, 길몽 등 나뉠 수 있지만 이러한 것에 대해서는 과학적인 근거가 없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꿈을 꾸는 이유는 렘 수면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안구의 움직임이 빠르게 일어나는 상태인 렘 수면은, 얕은 잠을 자고 있는 단계 입니다.

      이 단계에서 수면 중 뇌가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게 되고, 이것이 꿈입니다.

      즉, 꿈을 꾼다는 것은 깊은 잠의 단계가 아니며 깊이 잠을 못자고 있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