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오늘배움
오늘배움

삼성전자가 고객사도 없이 새로운 공장을 건설했다고 하는데요. 사실인지? 의사결정구조는 어떠했기에 그런 결정을 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오늘도배웁니다.

삼성전자가 파운드리 신공장과 미국 텍사스 테일러 신공장을 건설하면서 고객사를 확보하지 못했다고 하는 글을 봤습니다.

사실인지, 사실이라면 어떤 의사결정구조였기에 물건을 구매할 고객사도 없이 공장 건설부터 먼저 했는지 궁금합니다.

설명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공장건설은 하루아침에 되는게 아닙니다.

    공장건설을 시작할때는 건설이 될때쯤에는 고객사가 생길것으로 봤으나 안생긴것입니다.

    처음부터 없을것으로 예측했다면 아마도 짓지 않았을지도 모르겠지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삼성전자가 파운드리 신공장과 미국 텍사스 테일러 신공장 건설 후 고객사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는 삼성전자의 과감한 투자 결정에도 불구하고, 시장 상황 변화나 경쟁 심화 등 예상치 못한 요인들이 작용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구체적인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삼성전자의 공식적인 입장과 더불어, 관련 업계 전문가들의 분석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삼성전자가 고객사도 없이 새로운 공장을 건설했다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요즘 삼성전자가 전면적으로 위기에 빠져 있기 때문에

    충분히 가능한 상황이라고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사실 반도체에 대한 수요를 미리 예측하여 신설 공장을 위해 투자를 했습니다.

    반도체 공장 특성상 투자기간이 길고 막대한 금액이 들어가기 떄문에 미래 수요 예측을 통해 수년전에 결정이 된 상황이죠. 실제 공장 완공이 가시화되는 시점에 반도체 수요 감소와 경기 침체로 인해 실제 고객사 확보가 늦어진 결과가 발생했습니다. 수요예측을 실패한 것이지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기업이 대규모 투자를 감행할 때, 고객사를 확보한 뒤 수요를 파악하는 경우도 있지만, 향후 해당 산업의 선도주자가 되기 위해 고객사를 확보하지 않고 투자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때문에 의사결정 구조에 있어서 잘못된 부분은 없었고, 2019년 당시 삼성은 '시스템 반도체 비전 2030'을 내놓으며 파운드리 등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만 2030년까지 133조원을 투자해 2030년 시스템 반도체 1위로 도약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미국 텍사스에 테일러 신공장 계획을 추진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미래의 발전가능성을 보고 투자를 한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그 당시 결정상황에서는 수주의 증가와 타국에서의 경쟁력 및 시장성장을 예상하고 했겠지만, 공장을 만들고 나니, 수주실패로 인해 장기간 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삼성과 같은 경우에는 미국에

    파운드리 공장 등을 먼저 건설하였으며

    이유는 tsmc를 따라잡기 위함이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제가 아는 선에서 답변 드리면 삼성전자에서 미국에 반도체 공장 설립을 했던 것은 미국 정부의 반도체 산업 육성 정책과 관련이 있었던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치적 배경이 있었기에 투자 결정을 했을 것인데 갑자기 시장이 이렇게 되리라고는 예측을 못했던 것 같습니다.

    참고가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삼성전자가 고객사 확보 없이 미국 텍사스 테일러와 국내 파운드리 공장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한 건 맞습니다. 이 결정은 단기적인 고객사 계약보다는 장기적 시장 점유율 확보와 미래 수요 대비를 위해 이루어진 전략적 판단입니다.

    삼성전자 의사결정 구조를 보면, 미래 기술 및 시장 예측을 기반으로 하는 투자 전략을 중요시합니다. 특히 반도체 파운드리 시장에서 경쟁사인 TSMC와 격차를 줄이기 위해 기술 및 생산 역량을 선제적으로 확대할 필요성을 느낀 것으로 보입니다. 글로벌 반도체 수요는 AI, 자율주행, IoT 등 확산과 맞물려 향후 큰 폭의 성장이 예상됩니다. 이를 대비해 선제적으로 생산 인프라를 확보하려는 결정이 내려진 것입니다.

    또한, 파운드리 사업은 특성상 공장 가동이 가능해질 때 고객사를 유치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대형 고객사들은 이미 안정적인 대규모 생산 능력을 갖춘 기업과 협력하려 하기 때문에 고객사를 유치하기 전에 생산 인프라 확보로 신뢰와 기술력을 보여주는 전략을 선택한 겁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