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순금킹 시계퀸
순금킹 시계퀸

대전이 왜 한밭이 되었나요 궁금합니다

대전이 왜 한밭이 되었고 언제부터 한문으로 변했나요?

밭이 그렇게 컸나요?

대전에는 물이 없었나요? 논보다 밭이 많은것이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밭, 비수리(대전광역시): '한밭'에서 '한'은 '큰[大]'의 옛말이므로 한밭은 큰 밭이라는 말입니다.

    한밭은 순우리말이라고 합니다.

    출처: 나무위키 순우리말/지명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전, 명칭의 유래

    순우리말로 '한'은 크다는 뜻이고 '밭'은 들판이라는 뜻이므로 '한밭'은 넓은 들판이란 뜻이다. 우리말 한밭이란 명칭은 조선 초기에 한자식 이름을 만들면서 '한'을 대(大)로 '밭'을 전(田)으로 바꾸어 대전(大田)이라 부르게 되었다.

    -출처:굿모닝 충청

  • 안녕하세요. 김선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전의 본래 이름이 "한밭"이라고 하지만, 이는 과거의 지명을 그대로 가져온 것이 아닙니다. "한밭"이라는 이름은 대전이 국가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음을 상징하며, 한자로 쓰면 '漢潭'이 됩니다. 여기서 '한'은 큰 강을, '밭'은 넓은 들판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이는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큰 강이 흐르는 넓은 들판'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는 대전이 한반도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는 넓은 평원 지역에 큰 강인 금강이 흐르고 있음을 상징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밭"이라는 단어는 논이 아닌 들판을 의미하는데, 이는 과거의 농업 방식과 관련이 있습니다. 한반도에서는 쌀을 주요 농작물로 재배하였기 때문에 논 경작이 주를 이루었습니다. 그러나 대전 지역은 비교적 평평한 지형과 더불어 금강 등 주요 강처럼 큰 수원이 없는 지역이었기 때문에 밭 경작이 더 일반적이었을 수 있습니다.

    이런 의미에서 '한밭'이라는 이름은 대전이 한반도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는 넓은 평원 지역에 큰 강인 금강이 흐르고 있음을 상징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그 지역의 지리적, 경제적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대전이 '한밭'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게 된 것은 20세기 후반부터입니다. 1997년에 대전광역시에서 '한밭도시 대전'이라는 슬로건을 제정하면서부터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이는 대전의 중앙 위치를 강조하고, 그 지역의 새로운 발전을 상징하는 데 목적이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