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근면한콜리292
근면한콜리292

주린이 주식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예를들어서 100원짜리 주식 1주를 100원에 샀습니다

주가가 올라서 200원이 됐으니 평가금액도 100원(+100)원 = 200원이 됐습니다

여기서 아버지는 수익실현을 하고 바로 200원인 주식 1주를 샀습니다

저는 그대로 들고있어 100원(+100원) = 200원인 상황입니다

그러면 여기서 주가가 떨어지나 오르나 결국 아버지나 저나 평가금액은 똑같지 않나요?

그런데 아버지는 저는 투자금액이 100원이고 아버지는 200원인셈이니

다르다고 말씀하시는데 누구 말이 맞는건가요?

아버지가 수익실현하고 매수하는 가격이 더 낮으면 이익을 보고 더 높다면 손해인데

매도한 금액과 매수한 금액이 같으면 아무 의미가 없지않나요?

만약 주가가 150원이 된다면 저는 100원(+50원) = 150원인셈이고

아버지는 200원(-50원) = 150원으로 똑같은데

계속 투자한 금액이 다른데 뭐가 같냐면서 답답해하시는데 뭐가 정답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다른것도 접어두고, 투자금액만 두고 계산해 보겠습니다.

    질문하신분 : 투자원금 100원, 투자수익 200원 갔다 150원 됐음으로 50원 수익

    따라서 투자수익은 50%

    아버지의 경우 : 투자원금 200원, 그러나 투자원금이 150원 됐음으로 투자 손실은 50원

    따라서 투자손실은 25%

    이렇게 계산됩니다. 투자금은 150원 같지만 투자대비 수익과 손실은 각각 다릅니다. 이유는 투자원금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질문하신분의 투자원금은 100원, 아버지는 투자원금이 200원이기 때문입니다.

  • 위와 같은 경우에는 투자한 금액이 다릅니다.

    100원을 투자하여서 100원을 번 것과 200원을 투자하여 현재 가치가 200원인 것과 같은 경우에는

    똑같은 것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맞습니다. 평가금액은 같은거죠. 평가 금액은 지금의 자산의 평가가 얼마다라는 걸 보여주는거니까요.

    100원주고 산게 200원이 됐으니 이건 돈 번거고 200원 됐을때 200원주고 샀고 그대로니까 본전입니다. 근데 지금 이 자산의 평가가 200원이니 둘다 평가금액은 200원인 것입니다.

  • 두 분이 투자하신 개별 주식의 수익을 비교 하지 마시고 계좌 단위로 수익률을 비교하실 것을 권합니다.

    수수료가 없다는 가정 하에 수익 모두를 재투자하거나 기존 주식이 배로 되어 위와 같이 같다면 투자 수익은 같습니다.

    매매에 따른 현재 보유 주식 기준으로 수익의 양이나 수익률의 비교하기 보다는 두 분의 주식 계좌 단위로 비교하시면 됩니다.

  • 질문자님 말씀이 맞습니다

    처음에 투자한 금액이 그나마 중요하고 그다음에 그 주식을 사고 팔아서 그 뒤의 투자금이얼마냐는 크게 중요한 부분이 아닙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처음에 얼마를 투자했느냐와 지금 얼마인가 이것만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