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훈훈한두꺼비124
훈훈한두꺼비124

철이 지구의 기후 변화에 도움을 줄 수 있나요?

과학책을 보는데 철이 증발되거나 대기 중에 있을 때 지구의 온도를 높일 수도 있고 반대로 온도를 낮출 수 있다고 하던데 철이 지구 온난화를 늦추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고운푸들16
      고운푸들16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철은 지구의 기후 변화에 직접적으로 도움을 줄 수 없습니다.

      하지만 철은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되며, 이러한 산업들로 인해 지구의 기후 변화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말씀하신 철이 증발하거나 대기중에 있을 때라는 것은 가정에 의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즉, 지구에서 철이 증발하여 기체가 되거나 할 수는 없기에 말씀하신 기후변화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는 못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철이 증발하거나 대기중에 있으면 복사열을 반사하여 지구온난화에 도움을 줄 수 있지만 그양이 미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철이 증발하거나 대기 중에 있을 때 지구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러한 영향은 철이 대기 중에 존재하는 양과 그에 따른 파장 길이에 따라 다릅니다. 많은 양의 철이 대기 중에 존재할 때는 태양광 복사를 흡수하는 데에 도움이 되어 지구의 온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기 중에 있는 철의 양이 적다면 오히려 지구의 온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증발과 공기중의 철은 아니지만 철을 바다에 뿌려 바다를 비옥하게 하여 탄소를 빨아들이는 식물성 플랑크톤의 양을 늘려 기후변화를 막자는 이론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철이 지구 온난화를 늦추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철은 대기 중에서 태양빛의 복사열을 흡수하여 지구의 온도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철은 대기 중에서 쉽게 응결하여 철강, 흙, 먼지 등의 형태로 쌓이게 됩니다. 이러한 철 성분들은 태양빛의 복사열을 반사하여 지구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대기 중의 철 성분을 증가시킴으로써 지구 온난화를 늦출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철은 지구의 기후 변화에 일부 도움을 줄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주로 두 가지 관련된 측면에서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1. 해양 생태계와 이산화탄소 (CO2) 흡수: 철은 해양 생태계에서 중요한 영양소입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철 부족으로 인해 식물성 생산성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철을 추가적으로 공급하면 해양 식물들의 성장과 규모가 증가할 수 있으며, 이는 대기 중 CO2를 흡수하여 기후 변화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2. 해양 조류와 클로로필 생산: 철은 해양 조류의 성장과 번식에 필요한 영양분입니다. 조류는 자체적으로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여 CO2를 흡수하고 클로로필을 생성합니다. 따라서 충분한 철 공급이 있는 경우, 조류의 규모가 증가하여 대기 중 CO2를 더 많이 흡수하고, 클로로필 생산량도 증가하여 기후 변화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철 공급이 항상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대규모 철 공급 실험인 "청색바다 프로젝트"에서는 예상보다 큰 효과를 보여주지 않았으며, 환경 파괴 등 부작용도 나타납니다.

      또한, 지구의 기후 변화 문제는 다른 다양한 요인들(예: 온실 가스 배출 감소, 재생 에너지 사용 확대 등)과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단일 요소인 철만으로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철은 일부 상황에서 기후 변화 완화에 동반되는 요소일 수 있지만, 그리고 그것의 장기적인 효과와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계속해서 연구와 실험이 진행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