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성 단백질과 동물성단백질이 차이가 있나요?
식물성 단백질과 동물성단백질이 근본적인 차이가 있나요? 식물성단백질만 섭취하게되면 동물성단백질과 영양적으로 크게 차이가 날까요?
안녕하세요. 김지호 박사입니다.
단백질은 우리에게 꼭 필요한 필수 영양소 중 하나로 식탐 호르몬인 그렐린의 분비를 억제하고 포만감을 늘려 과식을 예방합니다. 또한 근력 감소를 막고 면역력 유지에도 도움이 되는데요, 단백질은 20가지의 아미노산으로 분해되는데, 신체는 이 20가지 아미노산 중 9가지의 아미노산을 스스로 합성할 수 없기 때문에 이 9가지의 아미노산은 반드시 음식을 통해 섭취해주어야 합니다. 단백질은 크게 어떤 음식을 통해 섭취하느냐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뉘는데, 바로 동물성 단백질과 식물성 단백질입니다. 동물성 단백질은 말 그대로 소고기나 돼지고기, 닭고기, 달걀이나 우유와 같이 동물에게서 얻을 수 있는 단백질이며, 식물성 단백질은 콩이나 곡류와 같은 식물에 들어있는 단백질입니다. 영양학 저널(Journal of Nutrition)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는 같은 양의 단백질을 먹더라도 동물성이냐, 식물성이냐에 따라 효과가 다르다고 밝혔는데요, 같은 양의 단백질을 섭취하더라도 식물성과 동물성 단백질의 대사과정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동물성 단백질은 체내 흡수량 또한 높아 적은 양으로도 많은 영양과 에너지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필수 아미노산이 더 많이 들어 있지만 지방 함량도 많기 때문에 과도하게 섭취할 경우 많은 성인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식물성 단백질은 동물성에 비해 지방 함량이 적기 때문에 칼로리가 낮은데요, 포화지방과 콜레스테롤 또한 없습니다. 하지만 필수 아미노산 중 단백질 합성에 꼭 필요한 류신이 적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식물성 단백질은 동물성에 비해 함량 및 칼로리가 적습니다. 소화도 용이하기 때문에 소화 기능이 떨어지는 사람들이 먹기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백찬양 전문가입니다.
네 식물성 단백질과 동물성 단백질은 각각 포함된 성분의 구성이 다릅니다. 따라서 한가지만 먹기보단 두가지 모두 드시는게 좋겠습니다.
1명 평가식물성 단백질과 동물성 단백질은 아미노산 구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동물성 단백질은 필수 아미노산을 모두 포함한 완전 단백질인 경우가 많지만, 식물성 단백질은 일부 필수 아미노산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양한 식물성 식품을 섭취하면 부족한 아미노산을 보충할 수 있어 영양적으로 균형을 맞출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식물성 단백질만 섭취하더라도 영양적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지만, 식단의 다양성이 중요합니다.
식물성 단백질과 동물성 단백질은 생각보다 차이점이 많습니다.
무엇보다 가장 큰 차이점은 아미노산 구성입니다. 두 종류의 단백질은 모두 우리 몸에 필요한 아미노산을 가지고 있지만, 그 구성비가 다릅니다. 동물성 단백질은 필수 아미노산을 더 골고루 함유하고 있어 체내 흡수율이 높은 편입니다. 반면, 식물성 단백질은 특정 아미노산이 부족할 수 있어 다양한 식물성 단백질을 섭취하여 이를 보완해야 합니다.
그리고 지방 함량도 다릅니다. 동물성 단백질은 포화지방과 콜레스테롤 함량이 높은 반면, 식물성 단백질은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하고 콜레스테롤이 없습니다. 그래서 심혈관 질환 예방을 위해 식물성 단백질 섭취를 권장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죠.
그 외에도 식물성 단백질은 섬유질, 비타민, 미네랄 등 다양한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는 반면, 동물성 단백질은 단백질 함량이 높지만 다른 영양소는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식물성 단백질만 섭취하는 채식주의자나 비건들도 충분히 건강하게 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식물성 단백질만으로는 모든 필수 아미노산을 충분히 섭취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양한 식물성 식품을 골고루 섭취하여 영양 균형을 맞춰야만 합니다.
즉, 콩이나 렌틸콩, 병아리콩, 퀴노아, 아마씨 등 다양한 식물성 단백질 식품을 섭취하여 부족한 아미노산을 보완해야 하며, 비타민 B12는 주로 동물성 식품에 함유되어 있으므로, 식물성 단백질만 섭취한다면 이는 영양제를 통해 보충해야 합니다. 또한 식물성 식품에 함유된 철분은 흡수율이 낮으므로, 비타민 C가 풍부한 식품과 함께 섭취하여 철분 흡수를을 높여야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