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고귀한두루미57
고귀한두루미57

타임 스탬프 와 논스에 대한 설명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타임 스탬프(time stamp)와 논스(nonce)가 무엇을 말하는지 정확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개념이 많이 부족하여 블록체인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많아 질문올립니다.

전문가님의 답변 부탁드립니다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까칠한담비242
      까칠한담비242

      블록은 블록 헤더와 블록 바디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 중에서 블록 헤더에 저장되는 정보를 살펴 봄으로써 질문자께서 질문하신 내용에 답변을 드릴 수 있겠습니다.

      1. 버전 :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의 버전

      2. 이전 블록의 해시 값 : 이전 블록헤더를 해싱한 값

      3. 머클 루트 : 블록의 거래 정보를 이진 트리로 해싱 했을 때 모든 거래 내역이 포함된 하나의 해시 값

      4. 비츠 : 블록의 작업 증명 연산을 위한 난이도 타겟 값

      5. 타임 스탬프 : 블록의 생성 시간

      6. 논스 : 블록이 설정해 놓은 값보다 더 낮은 값을 찾기 위해 무작위로 대입하는 임시 값

      이러한 정보를 활용하여 마이닝 노드가 블록 해시 값을 구하는 연산을 실행하고 그 값을 구해야만 블록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위의 정보가 어떻게 활용되는지 설명을 해 드리고 답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1. POW 합의 알고리즘에서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기 위해 블록 해시 값을 연산한다고 할 때 소프트웨어 버전, 이전 블록의 해시 값, 머클루트의 해시 값인 머클 해시, 블록이 생성된 시간, 난이도는 결정이 되고 변하지 않습니다.

      2. 다만 논스의 경우에는 변할 수 있는 무작위 값이기 때문에 논스가 달라짐으로써 새로운 블록의 해시 값이 다르게 연산되어 나오게 됩니다.

      3. 따라서 무작위 논스 값을 해시 함수에 대입하면서 난이도 값과 같거나 낮은 값을 찾는 연산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 값을 찾게 되면 블록을 생성할 수 있게 되고 이때 논스를 비롯한 나머지 모든 값을 더한 후 이것을 해싱하게 되면 이 새로운 블록의 해시 값을 구할 수 있게 됩니다.

      4. 그리고 그 값이 다시 다음 블록의 해더에 '이전 블록의 해시 값'으로 기록되며 블록체인이 연결된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