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름의 색깔에 따라서 빗물의 양도 달라지나요?
초딩 딸래미가 물어보네요..ㅎㅎ
"아빠, 구름색이 하얀색도 있고, 짙은 회색도 있고 여러가지인데..어떤게 비가 많이 와?" 라구요
사실, 저도 잘 모르겠네요.
구름이 분명히 지구상에서 물이 증발하여 하늘 위로 올라가서 찬 공기와 만나서 이슬이 맺히면서
형성된다는 것 정도는 알고 있는데 구름색의 농도에 따른 빗물 양과는 생각 해 본 적이 없네요
구름 색깔이 짙은 회색이 되는 이유는 어떤 이윤지도 모르겠네요..
전문가님들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의 모양은 지표에서 올라가는 상승기류의 차이와 관련 있습니다.
한랭전선에서 구름이 만들어진 경우 찬공기가 따뜻한공기 밑으로 파고 들어 밀어 올리기 때문에 위로 올라가는 속도도 빠르고 수직으로 올라가 두꺼운 적운형 구름을 형성하고 지상에서 보았을때 짙은회색을 띄며 굵고 세찬 비가 내립니다.
온난전선에서 구름이 만들어지는 경우 따뜻한 공기가 찬공기를 타고 올라가기 위로 올라가는 속도가 느리고 사선의 비스듬한 형태로 올라면서 얇은 층의 구름이 형성되어 흰색에 가까운 색을 나타내며 가늘고 약한 비가 내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구름 색에 따라 비가 올 수 있는 구름을 어느정도 판단할 수 있습니다. 하얀색 구름의 경우는 비가 내릴 확률이 적으며, 회색 구름의 경우 비가올 확률이 높습니다.
하얀 구름은 수증기와 물 분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또한 물 분자의 크기가 다양한 크기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크기의 입자가 존재하면 특정 파장의 빛만 산란 되지 않고 모든 파장 영역대의 빛이 산란할 수 있습니다. 빨간색 빛, 노란색 빛, 초록색 빛, 파란색 빛 등 모든 빛이 구름내에 존재하는 물 분자로부터 산란이 가능하죠. 모든 색의 빛이 산란되고 빛의 합성으로 인해 하얀색 빛으로 우리눈에 들어오게 되어 구름이 하얗게 보입니다.
먹구름(회색 구름)은 비가 내릴 수 있는 구름이고, 일반구름과 달리 수증기, 물의 함량이 높고 물방울의 크기가 큽니다(비내리기 직전, 비가 내리고 있는 상황). 그래서 빛이 먹구름 내에 물방울에 산란하지 못하고 흡수되어 어둡게 보이는 것이죠.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구름은 먼저 흰색으로 시작됩니다.
구름이 흰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구름을 이루는 물방울과 얼음 입자가 빛을 산란시키기 때문입니다.
곧 비가 내릴 먹구름이 검은 이유는 물방울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물방울이 커지면서 빛을 반사하는 양보다 흡수하는 양이 더 많아지게 됩니다.
반사하는 빛의 양이 적으니 검은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이 어두운색인경우는 두껍게쌓여서 태양빛이 투과하지못하기때문입니다. 따라서 두껍게쌓인만큼 많은 습기를 머금고있으므로, 빗물의 양이 많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