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만 대통령은 왜 친일파들을 없애지 않은 것인가요???
최근에 한국사 공부를 하는 중인데 이승만 대통령이 광복을 하고 나서 그 후 친일파들을 숙청하지 않았던데 왜 그런 것 인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이승만은 반민특위의 활동이 헌법 위반이라는 담화문을 발표했다.
이후 정부는 반민특위 활동에 대통령이 직접 관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반민법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정부의 반민법 개정안 제출 후 이승만
대통령은 국회의장 신익희와 대법원장 김병로에게 협조를 요청했지만
어떤 지원 약속도 받아내지 못했다.
결국 이 개정안은 1949년 2월 24일
국회 본회의에서 부결되고 말았다.
-출처: 우리역사넷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KBS 역사저널 그날] 우리는 왜 친일파 청산에 실패했는가?ㅣ ...
https://www.youtube.com › watch
[242회 그날 뒷담화] 우리는 왜 친일파 청산에 실패했는가?#역사저널그날 242회 "청산되지 못한 역사, 친일파 제1편 - 친일파의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제 해방 이후 남한에는 3년간 미군이 주둔하여 대리통치를 진행했습니다. 또 미군저이 3년간 대리통치를 하는 동안 미국은 남한테 경제적 원조를 비롯하여 건국 준비를 도와주기도 했습니다.
또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이승만은 반민특위가 친일파를 몽땅 잡아가면 남한내부에 큰 혼란이 올지도 모른다고 연설했는데 반민특위로 인해 친일파들이 대거 처벌당할 위기에 처하자 친일파들은 당시 상황에 맞춰 반공을 외치게 되며 이러한 상황에 미군정은 남한의 치안과 안보를 이야기하며 일제에 부역했던 인물들을 대거 등용하였고, 일제는 공산주의라는 사상을 철저히 배제했기 때문에 남한 내부 혼란을 막기 위해서는 오랫동안 한반도 내부사정을 잘 알던 그들을 고용할수 밖에 없었습니다.
미국은 일본이 항복했으니 일제에 부역했던 사람들에 대한 편견이 없었으며 실제 해방 이후 한반도 내부는 체제대립으로 매우 혼란스러웠습니다.
즉, 이승만은 일제 해방 이후 완벽한 친미인사였고 미국이 친일파 제거에 반대하는 입장으로 이승만 역시 미국의 입장을 따랐습니다.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승만 대통령이 친일파를 숙청하지 못했던 이유로는 이승만 대통령이 오랜 망명 생활로 인해 국내 정치 기반이 취약했기에 친일파를 기반으로 권력을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친일파 청산에 앞장섰던 반민 특위의 활동을 방해하고 무력화 하려고 애썼습니다. 말은 과거의 연연하지 말고, 앞으로 세울 사업에 더욱 노력하자라고 말하지만, 결국은 자신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 친일파였기때문에, 친일파가 없이는 운영이 안되었기 때문이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승만은 미국 하와이를 중심으로 독립활동을 하는 등 해외에서 외교적으로 독립활동을 주로 했기때문에 국내에 지지기반이 없었습니다. 친일지주나 친일자본가들로 구성된 한민당을 조직하여 자신의 지지기반으로 삼다보니 반민족자처벌특별위원회를 구성은 하였으나 미온적인 태도로 일관하다 끝내는 해체시켜버리기까지 하게됩니다. 아무튼 친일지주나 친일자본가들은 남한의 토지보상 정책 즉 유상몰수 유상분배로 인해 해방이후에도 자신들의 재산과 지위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는 역사적 아이러니를 보게됩니다. 이는 이승만의 권력야욕에서 기인한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승만 전 대통령은 친일파 청산에 굉장히 소극적이였던 것으로 보입니다.
https://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827095.html
이는 정치적 목적이였을 것인데, 미군정과 친한 친일파 출신의 관료들이 자신의 정치적 기반이 될 것이라 생각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승만 대통령이 대한민국 정부를 수립하고 정권을 잡을 때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친일파 이거나 친일 하던 사람들이라고 합니다. 친일을 하던 사람들이 친일파를 없앤다는 것은 고양이 한테 생선을 맡기는 꼴이였지요. 애초부터 불가능 한 일이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