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06

1금융권과 2금융권 차이가 있나요?

현제 금융권에는 1금융권과 2금융권이 있잖아요.

이 금융권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거고 왜 이렇게 나뉘어져 있는건가요?

어떤 금융권을 이용하는게 좋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최진솔 경제전문가blue-check
    최진솔 경제전문가22.11.06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개인이 사용하기에 크게 차이가없으며, 실제로는 은행법에 적용을 받는지 여부 그리고 자금규모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두 기관 모두 예금자 보호법에 따라서 원금, 이자포함 5천만원까지는 보호가 가능합니다. (기관당)

    자세한 목록은 아래를 참고부탁드립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금융권의경우 시중은행(국민은행 등) 및 특수은행(수출입은행)등이 속하고, 2금융권은 보험, 저축은행, 증권사 등이 속합니다. 1금융권은 2금융권대비 재무적으로 안정성이 높고 다양한 상품을 제시하지면, 수익률 측면에서는 2금융권이 더 높은 특징을 보유하고 잇습니다. 따라서 수익성을 우선으로 하실거면 2금융권을 안정성과 편리성을 추구하신다면 1금융권을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금융권과 2금융권은

    은행법을 적용받느냐 받지 않느냐의 차이가 있습니다.

    보통은 예적금을 하실 때에는 원금 5천만원 이내에서는

    2금융권도 보장이 되기 때문에 2금융권에 자금을 예치

    대출 등은 1금융권의 이자율이 낮기 때문에 1금융권을

    이용하시는 것이 유리합니다.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1금융권과 2금융권의 차이는 재무건전성등을 비교하여 1.2.3순위로 1금융권이 좋습니다. 대출시에도 2금융권에 비해서 까다롭게 평가하기에 리스크면에서도 적은편이며 반대로 2금융권은 예.적금 금리가 높은편이고 그만큼 대출이자도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금융권에는 한국의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에 더불어 시중은행, 특수은행, 그리고 지방은행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대체적으로 1금융권의 은행들은 정부적 차원에서 예금자 보호 제도를 통하여 최대 5천만원까지 원금을 보호해주기 때문에 가장 안정성이 높은 금융기관입니다. 따라서 예금 및 적금 시에는 이러한 보호 제도로 인하여 수익성이 낮은 반면 대출의 경우 가장 낮은 이율로 제공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우수한 신용등급을 보유한 소비자에게만 제공 가능하기 때문에 일부 소비자들은 1금융권 대출 사용이 제한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금융권 은행은 전국적으로 지점이 많아 사용이 용이하면 개개인의 신용등급에 가장 적은 악영향을 미칩니다.

    2금융권은 증권사, 종합금융회사, 보험회사, 카드사, 캐피탈사, 저축은행, 새마을금고 등 다양한 비은행금융기관을 일컷습니다. 이는 산업은행 등의 개발기관, 금융회사 등의 투자기관, 저축은행 등의 저축기관, 그리고 생명보험회사 등의 보험기관으로 세분화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1금융권보다 이율이 높아 저축에는 유리하지만 이로 인하여 대출은 덜 합리적입니다. 유사히 높은 이율에 비해 예금 및 적금에 법적 보호 적용이 되지 않아 영업 정지라는 최악의 경우 원금을 모두 잃을 수도 있습니다. 더 나아가 일부 2금융권 대출 발급의 경우 1금융권보다 신용등급 하락의 폭이 더 클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