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교사상은 어떻게 우리나라에 도입되어 전파가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유교사상은 우리나라 조선시대 큰 발전을 이뤘다고 하는데요.
문득 궁금한데 이 유교사상은 어떻게 우리나라에 도입되어 전파가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공자가 체계화한 사상으로
삼국시대 이전부터 우리나라에 전파되었지만 주로 국가운영원리로서의 유학이었습니다. 종교적 체계를 갖추는 것은 고려말 조선초에 이르러서였다고 합니다. 문묘를 세우고 공자와 성현의 위패를 모셔 제사를 지내기 시작했고 민간에서도 유교사상에 따른 제사 풍습 등이 체계적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조선의 경우 주자학 일변도로 치달았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국 명의 성리학이 고려 시대에 신진사대부들에게 전파되어 그 학문적 사상의 기반이 되었고,
고려 말 혼돈의 시대에 신진사대부 중 정도전 외 그를 추종하는 세력들이, 북방 세력인 이성계의 세력과 함께 고려를 멸망시키고 조선을 건국하였습니다.
조선의 건국이념은 정도전이 설계하여 성리학의 기반 위에 국가를 새로이 세우고, 성리학의 가르침에 따라 학자들이 국정에 대해 논하며 만들어가기를 바랐습니다. 이에 조선은 초기부터 고려의 국교였던 불교를 그동안의 폐해를 들어 억제하고 성리학이 기반이 된 유교사상을 도입하여 숭유억불의 정책을 펼쳤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모든 백성들의 일상생활에 파고들어야 하기 때문에 관혼상제 모두를 유교사상을 접목하여 하게끔 하였습니다. 조선왕조 500년 동안 지속되었기에 발전하였고, 조선 중후기에 들어 너무 학문적 유토피아만 꿈꾸는 것이 아닌가 하여 몇몇 학자들 사이에 실제 생활과 밀접한 학문이 필요하다 하여 소위 실사구시, 실학 사상이 대두되기는 하였으나 전반적으로 유교사상은 퇴화되지 않았고, 지금 우리 사회에서도 중국보다 더 우리 실정에 맞는 유교사상으로 자리매김하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조금씩 사라져가고 있는 것은 시대의 흐름이니 언젠가는 그 색이 바래지 않을까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공자의 사상으로 집대성된 유교사상이 부분적으로 전래한 시기는 서기전 3세기 위만조선과 한사군시대로 추정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