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단한친칠라280
대단한친칠라28023.03.29

은행의 LCR비율은 무엇이고 어떻게 산정되나요?

은행의 유동성 위험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이 LCR비율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LCR비율이 정획히무엇이고 어떻게 산정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LCR이라는 것은 유동성 커버리지 비율이라는 것이며 LCR의 산출방법은 고유동성 자산을 향후 1개월간 순현금 유출액(현금유출 - 현금유입)으로 나누어서 구하게됩니다.

    이 LCR비율은 금융위기가 발생하여 대량의 자금인출이 발생하더라도 은행이 30일동안 자체적으로 견딜 수 있도록 만들어진 규정으로 LCR비율이 높을수록 은행의 유동성이 좋다는 것을 의미하며 뱅크런과 같은 상황이 발생할시에 더 오래 견딜 수 있는 체력을 가진 것으로 평가하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향후 1개월간 순현금 유출액에 대한 고유동성 자산 비율. 현금화하기 쉬운 자산의 최소 의무보유비율로, 국내 은행들은 100%를 넘겨야 한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LCR(Liquidity Coverage Ratio)는 은행이 금융위기나 금융시장의 교란 등으로 인해 단기간 내에 발생할 수 있는 예금 인출 등의 자금 유출에 대비하기 위해 보유해야 하는 유동성 자산의 총액에 대한 최소 보유 비율을 의미합니다.

    LCR비율은 다음과 같이 산정됩니다. 은행은 30일 이내에 예상되는 자금 유출액에 대비하여, 30일 이내에 변동성이 낮은 정부채, 중앙은행 채권 등의 안전한 유동성 자산을 보유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안전한 유동성 자산의 가치를 예상되는 자금 유출액에 대비하여 나누어 LCR비율을 계산합니다. LCR비율이 100% 이상이면 은행은 예금 인출 등의 자금 유출에 대한 충분한 유동성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LCR비율이 높을수록 은행의 유동성 위험에 대한 대비능력이 높아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은행 LCR 비율은 은행이 유동성 부족에 대비하여 보유한 고유동성자산 규모를 30일간의 유동성스트레스 시나리오 하에서 예상되는 순현금유출액으로 나눈 비율입니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은행은 금융위기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LCR비율은 유동성커버리지비율을 의미합니다. LCR비율은 향후 30일간 예상되는 순 현금 유출액 대비 고유동성자산 비율입니다. 금융위기 등이 왔을 때 일시에 거액이 빠져나가는 상황에 대비하기 위한 규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