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경구용 코로나치료제는?
코로나 백신으론 한계가 있고 매일 확진자수는 2천 이상이 나오고 있습니다.정부에서는 곧 위드 코로나로 전환을 하지만 그에대한 해결책은 제시를 못하는 현시점 입니다. 미국에서는 경구치료제가 나온다는 기사도 봤습니다. 경구치료제가 없으면 위드코로나는 생각만해도 끔찍합니다. 유명한 학술지나 WHO에서는 알트수네이트가 코로나를 억제시킨다는 기점으로 많은연구와 곧 결과가 나온다 합니다. 피라맥스는 알트수네이트기반으로 만든 약으로 알고 있습니다.우리에게도 훌륭한 약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활용은 아주 소극적인거 같습니다.
만약 이런 약이 아니라면 우리나라 코라나 치료제의 현상황을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양은중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알 수 없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도 자연적으로 계속해서 유전자 돌연변이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돌연변이에 맞춰서 백신도 계속해서 개발되어야하는 상황입니다.
백신을 맞더라도
마스크와 더불어 사회적거리두기를 계속해서 지켜주셔야 하는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노동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코로나19 바이러스는 기본적으로 감기 바이러스입니다. 감기의 치료제가 없듯이 치료제를 만들기란 매우 어렵습니다. 바이러스는 변이도 잘 하기 때문에 세균처럼 동일한 항생제를 오래 쓸 수가 없고 치료제도 자주 진화를 해야 하는데 그 속도를 따라가기가 어렵습니다. 치료제 개발을 많이 하고 있지만 성과가 더딘 이유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독감도 코로나와 같은 호흡기 바이러스이지만 유효한 치료약제 개발에 수십년이 걸렸고 현재도 극적인 치료효과를 보이는 약제는 없습니다. 타미플루라도 치료효과가 대단하다고 보기에는 조금 부족한 편입니다. 아마 코로나 치료제 개발은 수년간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코로나 치료제도 현재 지속적으로 개발 연구 중이나 뚜렷한 성과가 없는 상황입니다. 초창기 유행당시 사용했던 약제들도 연구결과 큰 효과를 보지 못한다고 알려져 있어 현재는 예방이 최선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수재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1. 알테수네이트는 개똥쑥에서 추출한 말라리아 치료제인데 코로나에 효과가 있다곤 하나 현실적으로 출시되기 어렵습니다.
바이러스는 항바이러스의 기전을 가진 약으로 치료해야 합니다. 알테수네이트는 항말라리아 기전을 가지며 일부 항바이러스에 효과가 있을지라도 최적의 약물은 아닙니다.
신풍제약에서 피라맥스가 이와 같은 효과를 보이는데 사실상 매우 어렵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창윤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코로나 치료제가 나온다고 하여서 무조건적으로 치료한다는 보장이 없으며, 그것 또한 부작용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현재 백신을 토대로 집단 면역을 형성하여 코로나가 유행하더라도 그 감염의 전염경로를 최대한 차단하여 백신을 맞지 않은 사람도 코로나에 걸리기 쉽지 않게 할 수 있습니다.
충분히 많은 사람들이 백신을 맞게 되면 위드 코로나 가능하오니 걱정마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변종석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현재 2021년 상반기에 코로나 치료제가 개발되어 보급화될 수 있다는 소식이 들려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치료제와 약은 임상시험 과정을 통과해야 하는데 대부분의 약들이 보통 이러한 과정에서 중단되는 경우도 흔합니다.
조금 더 지켜보아야 할 것으로 보이며 시간이 더 걸릴 수도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을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용한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코로나치료제의 경우 각 나라 제약사에서 3차 임상을 진행하고 있는 회사가 많습니다.
올 연말에 개발이 될것이라고 예상되고 있긴 하지만 더 늦어 질수도 있습니다.
셀트리온의 경우 3차임상을 진행중이긴합니다.
치료제의 경우 무료보급보다는 개인돈을 주고 사먹을 것 같습니다.
답변남깁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강여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현재 코로나 치료제의 경우 기존약제를 조금 사용하고 있긴하지만 완벽한 치료제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코로나 치료제도 현재 지속적으로 개발 연구 중이나 뚜렷한 성과가 없는 상황입니다. 초창기 유행당시 사용했던 약제들도 연구결과 큰 효과를 보지 못한다고 알려져 있어 현재는 예방이 최선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