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구름은 어떤 원리로 생겨나나요? 구름은 수증기가 뭉쳐서 보이는 건가요?

구름은 어떤 원리로 생겨나나요? 구름은 수증기가 뭉쳐서 보이는 건가요? 먹구름 같은 경우는 어떻게 검게 보이는 거죠? 그 원리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김칠영 박사
    김칠영 박사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구름은 말 그대로 수증기들이 증발되어 높은 고도에서 응결되어 떠 있는 상태입니다. 수증이의 양이 많아지고 구름이 크고 두꺼워지면 햇빛을 가리면서 어둡게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구름은 태양열에 의해 지표면이 가열되면서 지표면의 공기가 따뜻해지며 상승하게 되고 이 공기가 상승하면서 기압을 낮추게되어 팽창하게 되며(단열팽창의 과정) 이때 온도를 낮추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이슬점에 도달하면서 공기중의 수증기가 응결을 하기 시작합니다!이 응결 과정은 대기중의 미세입자 주변에 의해서 발생하며 응결된 수증기가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으로 변하게 되어 구름을 형성하게 하는것이죠! 응결된 물방울이나 얼음결정이 서로 합쳐져서 더 큰 물방울이나 결정을 성장하게 하여 구름을 크게 만들게 합니다! 구름은 흰색으로 보일때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이 빛을 산란시켜 흰색으로 보이게하는데 이는 우리눈에 도달하게 되었을때 모든 빛이 산란되면서 보이게 되는것이며 먹구름은 구름이 매우 두껍고 밀도가 높을때 나타나며 빛을 더 많이 흡수하고 산란시키기에 태양빛이 구름을 통과하지 못하고 대부분 흡수하게 되어 우리가 볼때는 검게 보이게 되는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