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노력하는일개미
노력하는일개미

날아가는 비행기를 지상에서 봤을 때 흰 꼬리? 같은게 생기던데 왜 그런 현상이 일어나는 걸까요?

날아가는 비행기를 지상에서 봤을 때 흰 꼬리? 같은 게 생기던데 왜 그런 현상이 일어나는 걸까요?

한번 생기면 잘 없어지지도 않던데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가 하늘을 날때 흰 꼬리 모양의 구름이 생기는데 이것을 '비행운' 이라고 부릅니다. 비행운은 항공기의 연료가 연소되어 배출되는 뜨거운 배기가스의 수증기와 매연 입자가 높은 고도의 차가운 공기를 만나서 얼거나 물로 응결되어 생기게 됩니다. 미세한 얼음 알갱이 또는 물방울은 빛을 산란시키기 때문에 흰색 구름처럼 보이게 됩니다. 비행운이 생기는 고도는 8Km 이상의 영하 38도씨 이하에서 발생합니다.

    • 비행기 주변이 뿌옇게 변하면서 구름처럼 생기는 것을 비행운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것이 생기는 이유는 배기가스와 하늘의 온도차이 때문입니다.

      겨울에 입김을 불면 뿌옇게 보이는 현상은 입안의 온도와 바깥의 온도의 차이 때문인데,

      하늘의 온도보다 배기가스의 온도가 급격히 높기 때문에 이러한 입김과 같은 구름운이 생기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