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조용한문어80
조용한문어8023.10.16

고인물이 썩는 이유와 흐르는 물이 썩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고인 물은 썩지만 흐르는 물은 썩지 않는데요.

고인 물은 왜 썩는 것이고, 흐르는 물이 썩지 않는 원리를 과학적으로 쉽게 설명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강종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인물이 썪는 이유와 흐르는 물이 썪지 않는 이유는 환경과 미생물 활동과 관련이 있습니다.


    *고인물이 썪는 이유:


    1.산소 부족:

    고인물은 통풍이 제한되어 산소가 부족하며, 이는 고인물 내부에 있는 미생물이 호흡과 분해 활동을 하기 어렵게 만듭니다.


    2.박테리아와 곰팡이 활동:

    미생물은 고인물의 유기 물질을 분해하며, 이러한 분해 과정은 악취와 부패를 일으키는데 기여합니다.


    *이에 반해 흐르는 물이 썪지 않는 이유:


    1.물 중의 산소:

    물은 공기와 접촉하여 산소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미생물이 살아가기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2.물의 순환:

    물은 계속해서 흘러가는 특성이 있어 고인물과는 달리 미생물과 유기 물질이 빠르게 희석되고 배출됩니다.



    요약하면, 썪는 현상은 주로 미생물 활동과 환경 요소와 관련이 있으며, 흐르는 물은 산소가 풍부하고 물의 순환으로 인해 부패와 썪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인 물은 산소가 부족하고 유기물이 축적되기 때문에 썩게 됩니다. 반면, 흐르는 물은 산소가 풍부하고 유기물이 희석되기 때문에 썩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은 자연적으로 흐르면서 자정작용을 합니다. 물이 식물의 뿌리나 모래 속을 통과할 때 유기 물질을 여과해줍니다. 자갈과 돌이 있는 곳을 물이 통과할 때, 물속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해 줍니다. 이 산소는 물속에 사는 미생물에 필요한 산소 공급을 해주고 미생물은 유기물을 먹이로 물을 깨끗이 줍니다. 반면 물이 고여있으면 썩는 이유는 물속에 산소 공급을 해줄 수가 없습니다. 물속에 산소 공급을 못해주면 물속에 사는 동물이나 미생물에 산소를 공급할 수 없게 되고 죽은 사체가 부패해서 분해 되어서 물속에 유기물로 남게 됩니다. 그래서 물이 썩게 되는 거지요.


  •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썩지 않기 위해서는 물 안에 미생물이 이물질을 잘 분해 합니다.

    이 미생물이 활동 하기 위해서는 산소가 필요한데 흐르는 물은 이 산소 공급이 잘 되어 잘 썩지 않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혜은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썩는 이유는 고여있는 물에 있는 미생물이 생존을 위해 물속에 있는 유기물을 분해하게 되는데 이때 황화 수소나 메탄같은 물질들을 만들어 내는데 이것들이 냄새가 나고 물을 탁하게 만들어 오염시킬때 물이 썪는다고 합니다.

    이러한 이유를 반대로 새각해 보면 물이 고여있지 않게 흐르게 되면 물속에 유기물도 넘쳐나고 산소도 지속적으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물이 썩지 않는 것 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